(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부평구 민선8기 3주년을 맞아 '부평구의 변화'를 차준택 부평구청장에게 들어본다.
1. 민선8기 3년차에 접어들었다. 소감 한 말씀.
- ‘더 큰 부평’을 모토로 삼고 민선8기 구정을 운영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3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어느덧 결실을 수확하고, 마무리를 지어야 하는 시기가 다가왔다.
그동안 우리 부평은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딛고 구민들께 희망을 드릴 수 있는 구정 운영에 매진 해왔다.
부평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존중받고, 보호받고, 즐겁게 살 수 있는 도시의 기틀을 마련했다.
콘크리트 아래 잠자던 물길이 다시 살아나 도심 속 쉼터이자 도시재생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구민들께서 변화된 부평을 느끼실 수 있도록 다양한 생활밀착형 사업들에도 힘을 쏟았다.
남은 민선8기 임기 동안에는 성과를 낸 사업이 구민 모두가 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보완하는 등 더욱 세심하게 챙기겠다.
또한, 현재 추진하는 사업들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
2. 평소 구민 일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정책들을 강조해 왔다. 민선8기 3년차는 구민 일상 속 어떤 변화를 추구해 왔는지?
- 지난 3년 간 우리 구는 ‘구민들이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부평’에 중점을 두고 구정을 운영해 왔다.
회색의 도시를 녹색으로 변화시키고, 낡고 어두운 원도심 동네를 안전하고 편리한 마을로 탈바꿈 시키는데 집중하고 있다.
먼저, 부평형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원도심이 보다 깔끔하고 편리한 구민친화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지난해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구간의 끝 부분인 구청 길 건너편에 공공문화공간 ‘굴포문화마루’가 조성돼 구민들의 휴식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굴포특화가로와 부평문화로 조성 사업으로 주요 상권 지역의 전선을 지중화하고 통행로를 개선했다.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과 같이 이뤄지는 도시숲과 굴포하늘길 또한 구민들께서 자랑스러워 하실만한 부평의 상징적인 명소가 될 것이다.
산과 하천을 끼고 있는 부평의 특색을 활용해 자연친화적인 도심을 만들기 위한 녹지 조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부터 지역 내 7개 산에 야생화 7종을 심어 ‘야생화 50만 송이 꽃길’을 조성하려고 합니다. 50만 송이는 부평구 인구를 상징한다.
올해는 장수산에 구절초 8만 송이를 심을 예정이다.
이후 오는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부개산, 함봉산, 원적산, 동암산, 거마산 등에 야생화를 조성하려고 한다.
산을 사랑하는 지역 주민과 함께 꽃을 심고 관리하겠다. 사업이 완료되면 계절마다 꽃이 만개한 아름다운 산을 만나실 수 있을 것이다.
장수산에는 몸이 불편한 분들도 보호자와 함께 산을 오를 수 있는 무장애나눔길을 조성했으며, 구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냇물공원 갈산근린공원 등 지역 내 공원 곳곳에 맨발 산책로 8곳을 조성·정비했다.
구민들이 깨끗한 동네에서 안전하게 살아가실 수 있도록 동네 환경 개선사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범죄로부터 안전한 동네’를 만들기 위한 안심마을 조성사업도 현재 4곳(부평1·5동, 십정2동, 부개1동)이 조성 완료되는 등 순항 중에 있다.
어둡고 노후화된 골목길이 환할 수 있도록 조명형 주소판 및 필로티 주차장 조명을 설치하고, 안심거울(미러시트)도 곳곳에 부착했다.
안심벨이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개선하고 비상벨 고보조명 등도 설치해 누구라도 위급하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부평 남부권역의 대표적인 원도심인 부개1동·일신동 일부지역은 주거환경 개선사업(뉴빌리지 사업)을 통해 새로운 동네로 탈바꿈한다.
우리 구는 올해부터 4년간(2025년~2028년) 사업비 140억원을 들여 기반 시설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현재 설계용역 등 사업 기초를 다지고 있다. 이르면 내년 초부터는 도로 재포장 등을 시작으로 마분공원 지하주차장 조성 등 기반 시설 공사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반 시설 구축이 완료되면 주민 주도의 주택정비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거라 생각한다.
주민들이 빌라 등 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할 경우 건축물 용적률 120% 완화, 저금리 융자지원 등 제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우리 구는 주민들께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체감하실 수 있도록 안심마을 조성사업을 지속해 추진하는 등 도시재생사업에 최선을 다하겠다.
3.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문화복지국을 복지국으로 독립시켰다. 조직개편 내용과 어떤 정책 의지를 담아 개편한 것인지 설명 부탁드린다.
- 우리 구의 사회복지 수요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지난 5월 기준으로 인천 내 10개 군‧구를 따져보면 인구 2위, 노인인구수 1위, 기초생활수급자수 2위, 다문화가구 1위, 등록장애인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5년 본예산 기준으로 사회복지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71.57%에 이른다.
이에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문화복지국을 복지국으로 독립시켰다.
국 산하의 6개 과를 모두 복지 분야 부서(복지정책과, 사회보장과, 여성가족과, 아동복지과, 영유아보육과, 노인장애인과) 로 꾸려 전문성을 확보하고, 구정에서 사회복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확고히 하고자 한다.
이번 달 정기인사를 시점으로 복지국을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복지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신규 행정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규모에 맞게 조직을 정비해 운영하겠다.
4. 부평구는 2024년 아동친화도시로 인증됐다.
- 이제 인증을 넘어서 아동 분야에서 구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한 때이다. 어떤 변화 만들고 있는지?
부평 아동친화도시는 ‘부평의 미래는 어린이’라는 생각으로 민선8기가 들어서자 마자 추진한 핵심 공약 중 하나이다.
관련 부서 신설 및 조례 제정을 비롯한 다양한 아동 관련 정책 추진을 인정받아 지난해 말 우리 구는 유니세프로부터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우리 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계기로 체감할 수 있는 아동친화도시 부평을 만들기 위해 구민·어린이·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있다.
먼저 우리 아이들이 가까운 곳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인프라 조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앞서 상꾸지어린이공원 무장애 통합놀이터를 시작으로 지난 5월에는 인천나비공원에 체험형 모험숲을 조성했다.
올 하반기에는 신트리공원 생태놀이터도 완공이 예정돼 있는 등 지역 곳곳에 아동들의 자연친화적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부모님들이 믿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보육도 신경쓰고 있다.
국공립어린이집은 2022년 33개소에서 올해 48개소로 대폭 확대했으며, 부모·자녀의 놀이공간인 ‘아이사랑꿈터’ 또한 5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아동의 의견을 구정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
지역 아동으로 구성된 아동참여위원회는 올해로 3기째를 맞이하며 구정에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아동 관련 정책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는 ‘아동정책영향평가’ 제도를 보다 확대해 정책 전반에 걸쳐 아동 친화적인 요소를 반영 중 이다.
부평구는 앞으로도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며 보다 아동친화적인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5. 그동안 굴포천 생태하천복원사업에 주력해 왔다. 오는 9월 완공을 앞두고 있는데, 어디까지 와있는지.
- 우리 구의 핵심 사업인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 사업이 당초 완공 예정 시기인 9월 말을 목표로 큰 어려움 없이 차근차근 진행 중에 있다. 현재 공정률은 82%에 이르고 있다.
현재 백마교 교량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호안 조성 또한 다음 달 완료된다.
이후 산책로 조성과 호안 꽃 식재를 끝내면 9월이 가기 전, 하천에 물이 흐르고, 구민들이 생태하천을 직접 걸으며 산책하실 수 있을 것이다.
도심 속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굴포천은 구민들에게 마음 속 여유를 가져다 줄 것이다.
더불어 복원되는 굴포천을 중심으로 지역상권 및 문화 기능 활성화를 위한 부평11번가 도시재생사업도 함께 추진 중 이다.
2027년에는 지하3층~지상19층 규모의 혁신센터가 완공되어 굴포천을 산책하며 다양한 문화공간을 즐기고 수변 상업공간을 이용하실 수 있을 것이다.
- 부평구청에서 부평1동 행정복지센터까지의 굴포천 생태하천복원이 이뤄진다면 부평구를 관통하는 굴포천을 중심으로 수변·녹지 축이 더욱 확장되고, 주변의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더 큰 부평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생태하천을 더욱 빛나게 해줄 굴포천 은하수길도 올해 완공됩니다. 생태하천 복원 구간과 구청에서 삼산4교 인근까지의 굴포천 주변 산책로가 은하수길로 조성된다.
굴포천 주변 우거진 나무에 조명을 설치하고, 레이저 조명을 활용해 밤이면 예쁘게 빛나는 은하수길을 만들 예정이다.
마치 도심 속에 별빛이 내려앉은 듯한 지역 명소로 가꾸겠다.
6. 민선8기 3년 동안의 구정 운영에 대해 스스로 평가를 내리신다면.
- 지난 민선8기 3년간 우리 구는 ‘구민들이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부평’에 중점을 두고 구정을 운영해 왔다. 이른바 ‘생활밀착형 사업’에 온 힘을 다했다.
먼저 남부권역 주민들의 복지와 여가생활을 위해 부평남부노인문화센터와 부평남부체육센터를 개관, 운영 중에 있다.
대규모 아파트가 입주한 서부권역에는 부평구청소년복합문화센터가 청소년들의 꿈과 미래를 지원하고 있다.
부평문화로와 부평서초등학교 인근에 보도를 확장하고, 전선 지중화를 통해 보행환경을 개선했다.
부평구청 건너편 굴포천 공영주차장에 공공문화공간인 굴포문화마루와 하늘거울을 조성해 도심 속 휴게공간도 마련했다.
갈산공원 물놀이장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어린이 물놀이장 5곳을 조성해 어린이들이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날 수 있도록 했으며, 어르신들의 놀이터인 시니어파크와 맨발걷기 길을 설치했다.
분수공원과 원적산공원에 반려인과 반려동물을 위한 놀이터도 만들었다.
원도심의 고질적인 문제인 주차난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도 끊임없이 진행 중 이다.
155대 수용이 가능한 신트리공원 공영주차장을 비롯해 부평 곳곳에 주차장 조성 및 여러 기관들과 주차장 이용 협약을 맺어 주차난을 완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구민들이 일상에서 안전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하실 수 있도록 스마트 부평도 조성하고 있다.
지난해 부평4동에 스마트 횡단보도·쉼터 등 ‘스마트타운’을 조성해 구민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는 지역 곳곳에 스마트 횡단보도와 자동제설장치 등을 설치하는 ‘스마트 빌리지’ 사업을 확대 추진 중에 있다.
이런 노력은 중앙정부 등 외부 평가에서도 성과를 인정 받고 있습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전국 기초단체장을 대상으로 하는 공약 이행 평가에서 인천에서는 유일하게 3년 연속 최고 등급(SA)을 받았다.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행정 평가에서도 5년 연속 우수기관에 선정됐고, 지난해 종합청렴도 평가에서는 인천 자치구에서 유일하게 종합 2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특히, 지난 달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25년 재난관리평가’에서 우리 구는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최우수기관에 선정돼 장관 표창을 받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이외에도 행정의 각 분야에서 50여건의 표창을 수상했다.
이 모든 성과는 적극적으로 구정에 동참해주신 구민 여러분들과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준 부평구 공직자들이 힘을 합친 결과라고 생각한다.
7. 새 정부가 들어섰다. 구청장 입장에서 요청하고 싶은 것들이 있다면?
- 부평구 뿐만 아니라 전국 모든 자치단체들이 현재 재정 상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이에 대한 전향적인 정부정책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구의 경우 1회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통해 인건비 등 필수경비를 반영하고, 모든 부분의 사업 예산을 구조조정했다.
그러나 가용재원 부족으로 꼭 반영해야 할 필수경비의 일부를 편성하지 못한 상황이다.
재정자립도 또한 본예산 당시 15.7%에서 1회 추경을 거쳐 15.4%로 하락했다.
리 구는 연말까지 모든 노력을 다해 재원을 확보하고 구조조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그래도 전국적인 상황을 고려해 새 정부의 새로운 시각에 기반한 지방재정 정책이 나왔으면 한다.
새 정부에 부동산 정책과 세제의 합리적 개편과 지방재정 보전을 위한 대응책 마련을 건의드린다.
획일적으로 배분되고 있는 국고보조금도 개선을 건의드린다.
자치단체별 사회복지사업 비중과 재정자립도‧자주도 등을 감안해 재정력이 취약한 자치구에 가중치를 부여해 더 보조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부세‧교부금 등 재정 조정제도 개선을 통해 기초와 광역자치단체 사이의 ’합리적 재정부담제‘를 법제화해 투명하게 관리하고, 보편적 복지사업에 대한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부담, 지방채 발행 요건 완화, 지방교부세 제도의 유연한 운영 등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재정력이 현격히 낮거나 재정상황이 심각한 기초자치단체에 일반재원을 교부하는 일반재원 중심의 재정 조정제도 추가 도입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지방재정 정상화는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믿는다.
8. 끝으로 구민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사랑하는 부평구민 여러분! ‘더 큰 부평’을 위해 달려온 민선8기도 어느덧 마무리를 해야 하는 시간이 다가왔다.
지난 민선8기 3년 간 우리 구는 구민들께서 체감하실 수 있는 변화된 부평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제 남은 1년은 그동안의 성과에 완성도를 높이고, 주요 역점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
그리고 ‘함께 여는 내일, 더 큰 부평’을 향해 1400여 부평 공직자들과 함께 나아가겠다.
구민 여러분의 변함없는 지지와 성원에 감사드리며, 52만 부평구민과 함께 부평의 내일을 만들어가겠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e hear about 'Changes in Bupyeong-gu' from Bupyeong-gu Mayor Cha Jun-taek on the 3rd anniversary of the 8th local government.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We hear about 'Changes in Bupyeong-gu' from Bupyeong-gu Mayor Cha Jun-taek on the 3rd anniversary of the 8th local government.
1. We have entered the 3rd year of the 8th local government. What are your thoughts?
- It seems like only yesterday that we ran the 8th local government under the motto of 'Greater Bupyeong', but already 3 years have passed.
The time has come to reap the fruits of our labor and wrap things up.
In the meantime, Bupyeong has been dedicated to running the local government in a way that can give hope to its residents, overcoming internal and external difficulties.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a city where children, the future of Bupyeong, can be respected, protected, and live happily.
The waterway that was sleeping under the concrete is coming back to life and is transforming into a shelter in the city center and a center of urban regeneration.
We have also put our efforts into various project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so that residents can feel the changes in Bupyeong.
During the remaining term of the 8th local government, we will take more careful care by expanding and supplementing successful projects so that all residents can equally benefit.
In addition, we will focus our administrative power so that the projects currently being promoted can proceed without a hitch.
2. We have always emphasized policies that bring about changes in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What changes have you pursued in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n the third year of the 8th local government?
- For the past three years, our district has been operating the district with a focus on ‘Bupyeong where residents can experience changes in their lives.’
We are focusing on changing the gray city into green and transforming the old and dark downtown area into a safe and convenient town.
First, the Bupyeong-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transforming the downtown area into a cleaner and more convenient resident-friendly city.
Last year, the public cultural space ‘Gulppo Cultural Maru’ was created across the street from the district office at the end of the Gulppocheo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section, and it is receiving attention as a place for residents to relax.
As part of the Gulppo Special Street and Bupyeong Cultural Street restoration projects, the cables in major commercial areas were buried underground and the passageways were improved.
The urban forest and Gulppo Sky Road, which are being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Gulppocheo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will also become symbolic landmarks of Bupyeong that residents can be proud of.
We are also putting our heart and soul into creating green space to create a nature-friendly downtown area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Bupyeong, which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rivers.
Starting this year, we plan to plant 7 types of wildflowers on 7 mountains in the region to create a ‘500,000 Wildflower Flower Road’. 500,000 flowers symbolize the population of Bupyeong-gu.
This year, we plan to plant 80,000 flowers of Chrysanthemum japonica on Jangsu Mountain.
After that, we plan to gradually create wildflowers on Bugae Mountain, Hambong Mountain, Wonjeok Mountain, Dongam Mountain, and Geoma Mountain by 2027.
We will plant and manage flowers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who love the mountains.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you will be able to see a beautiful mountain in full bloom with flowers every season.
We created a barrier-free sharing path on Jangsu Mountain so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climb the mountain with a guardian, and we created and maintained 8 barefoot walking paths in various parks in the region, including Stream Park and Galsan Neighborhood Park, to promote the health of residents.
We are also working on improv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o that residents can live safely in a clean neighborhood.
The Saf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o create a ‘neighborhood safe from crime’ is also progressing smoothly, with four locations (Bupyeong 1·5-dong, Sipjeong 2-dong, Bugae 1-dong) currently completed.
To brighten up dark and aging alleyways, illuminated address signs and piloti parking lot lights were installed, and safety mirrors (mirror sheets) were also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afety bells were improved to be more visible, and emergency bell high-beam lights were also installed so that anyone can quickly receive help in case of an emergency.
Some areas of Bugae 1-dong and Ilshin-dong, representative downtown areas in the southern Bupyeong region, are being transformed into new neighborhoods throug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New Village Project).
Our district plans to spend 14 billion won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over the next four years (2025~2028) starting this year.
We are currently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project, including design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uch as road resurfacing and the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for Ma-bun Park, will be carried out sequentially starting early next year.
I think that once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resident-led housing maintenance project will be fully implemented.
If residents promot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such as villas, we plan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asing the building floor area ratio by 120% and providing low-interest loan support.
In the future, our district will continue to promote the Safe Village Creation Project so that residents can experience a safe and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will do its bes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3. Recently, the Culture and Welfare Bureau was separated into the Welfare Bureau through reorganization. Please explain the contents of the reorganization and what policy intentions were behind the reorganization.
-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in our district is very high.
As of May, Incheon ranked 2nd in population, 1st in elderly population, 2nd in number of basic livelihood recipients, 1st in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1st in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As of the 2025 budget, the proportion of social welfare sector reached 71.57%.
Accordingly, the existing Culture and Welfare Bureau was reorganized into the Welfare Bureau.
All 6 departments under the bureau will be organized into welfare sector departments (Welfare Policy Department, Social Security Department, Women and Family Department, Child Welfare Department, Infant and Toddler Care Department, Elderly and Disabled Department) to secure expertise and solidify the propor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district administration.
The Welfare Bureau is scheduled to be fully operational starting with the regular personnel changes this month.
We will actively respond to various new administrative demands including welfare sectors and reorganize and operate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ion.
4. Bupyeong-gu was certified as a child-friendly city in 2024.
- Now, beyond certification, it is time for changes that residents can feel in the children's sector. What changes are you making?
Bupyeong Child-Friendly City is one of the key pledges that was promoted as soon as the 8th local government took office with the idea that 'Bupyeong's future is children'.
In recognition of various child-related polic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departments and enactment of ordinances, our district achieved the feat of obtaining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from UNICEF at the end of last year.
Our district is not satisfied with this, and is putting its heads together with residents, children, and experts to create a child-friendly city that can be felt through the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First, we are working hard to create various infrastructure so that our children can feel nature up close.
Starting with the barrier-free integrated playground at Sangkkuji Children's Park, we created an experiential adventure forest at Incheon Butterfly Park in May.
The Shintri Park Ecological Playground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we are doing our best to create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for children in various areas.
We are also paying attention to childcare to create a city that parents can trust and where it is good to raise children.
The number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3 in 2022 to 48 this year, and we are also operating 5 ‘Children’s Love Dream Centers’, which are play spaces for parents and children.
We are also continuing our efforts to reflect children’s opinions in district administration.
The Children’s Participation Committee, which consists of local children, is in its third term this year and is providing diverse voices to district administration.
In addition, we are expanding the ‘Child Policy Impact Assessment’ system, which examines child-related policies more closely, to reflect child-friendly elements throughout the policy.
Bupyeong-gu will continue to do its best to respect children’s rights and become a more child-friendly city.
5. We have focused on the Gulpocheo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It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in September. How far along is it?
-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Gulpocheon Ecological Stream, a key project of our district, is progressing steadily without much difficulty, aiming for the end of September, the original completion date. The current progress rate is 82%.
Currently, the construction of Baekma Bridge is in the final stag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will also be completed next month.
After that, once the construction of the walking path and the planting of flowers along the embankment are completed, water will flow in the stream before September ends, and residents will be able to walk along the ecological stream.
Gulpocheon, which has been reborn as an ecological stream in the city, will bring peace of mind to residents.
In addition, the Bupyeong 11th Street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also being promoted to revitalize local commercial and cultural functions centered around the restored Gulpocheon.
In 2027, an innovation center with 3 underground floors and 19 floors above ground will be completed, allowing you to enjoy various cultural spaces while strolling along Gulpocheon and use the waterside commercial space.
- If the restoration of the Gulpocheon ecological stream from Bupyeong-gu Office to Bupyeong 1-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is completed, the waterside and green space axis centered around Gulpocheon that runs through Bupyeong-gu will be further expanded, and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rrounding local economy, laying the foundation for a greater Bupyeong.
The Gulpocheon Milky Way Road, which will make the ecological stream shine even more, will also be completed this year. Th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section and the Gulpocheon walking trail from the district office to the vicinity of Samsan 4 Bridge will be transformed into the Milky Way Road.
We plan to install lights on the lush trees around Gulpocheon and use laser lights to create a Milky Way Road that shines beautifully at night.
We will develop it into a local attraction that looks like stars have fallen in the city center.
6. How would you evaluate your own administration over the three years of the 8th local government?
- For the past three years of the 8th local government, our district has focused on ‘Bupyeong where residents can experience changes in their lives’ and has been operating the district administration. We have put all our efforts into the so-called ‘life-oriented projects’.
First, for the welfare and leisure activities of residents in the southern region, the Bupyeong Southern Senior Cultural Center and Bupyeong Southern Sports Center have been opened and are currently in operation.
In the western region where large apartments are located, the Bupyeong Youth Complex Cultural Center supports the dreams and future of youth.
The sidewalks near Bupyeong Cultural Road and Bupyeong Seo Elementary School have been expanded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has been improved by burying power lines underground.
Across from Bupyeong District Office, the Gulpo Cultural Maru and Sky Mirror, public cultural spaces, have been created in the Gulpocheon Public Parking Lot, creating a resting space in the city center.
Starting with the Galsan Park water park, five children's water parks have been built so that children can cool off in the hot summer, and a senior park and barefoot walking path have been installed as playgrounds for the elderly.
Playgrounds for companions and pets at the fountain park and Wonjeoksan ParkIt also created an eater.
Efforts are also being made to alleviate the chronic parking shortage in the downtown area.
Including the Shintri Park public parking lot that can accommodate 155 cars, we are making efforts to alleviate the parking shortage by creating parking lots in various places in Bupyeong and signing parking lot use agreements with various organizations.
We are also creating a smart Bupyeong so that residents can lead safe and comfortable lives.
Last year, a ‘smart town’ with smart crosswalks and shelters was created in Bupyeong 4-dong,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as high.
Based on this, we are expanding the ‘smart village’ project this year to install smart crosswalks and automatic snow removal devices in various places in the region.
These efforts have been recognized by external evaluation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Incheon was the only city to receive the highest grade (SA) for three consecutive years in the pledge implementation evaluation conducted by the Korea Manifesto Implementation Headquarters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In the active administration evaluation targeting 243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it was selected as an excellent organization for 5 consecutive years, and in the comprehensive integrity evaluation last year, it was the only Incheon autonomous district to receive a comprehensive 2nd grade.
In particular, in the ‘2025 Disaster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last month, our district achieved the feat of being selected as the best organization among 226 basic autonomous districts nationwide and receiving a commendation from the Minister.
In addition, it received about 50 commendations in various administrative fields.
I believe that all of these achievements are the result of the combined efforts of the resi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trict administration and the Bupyeong-gu public officials who did their best in their positions.
7. The new government has come into power.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request as the district mayor?
- Not only Bupyeong-gu, but all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are currently complaining about the difficulties in their financial situation.
We are expecting a forward-looking government policy on this after the launch of the new government.
In our district, essential expenses such as personnel expenses were reflected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and the budget for all business areas was restructur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funds, some of the essential expenses that must be reflected were not prepared.
The financial self-sufficiency rate also decreased from 15.7% at the time of the original budget to 15.4% after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The district plans to make every effort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nd continue restructuring by the end of the year.
However, considering the national situation, I hope that the new government will come up with a local financial policy based on a new perspective.
I suggest that the new government rationally reform real estate policies and tax system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to preserve local finances.
I also suggest that the national subsidies that are being distributed uniformly be improved.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social welfare projects and financial self-sufficiency and autonomy of each local government, we should give more weight to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financial power and provide more support.
In addition, it is urgent to legislate and transparently manage the ‘rational financial burden system’ between local and metropolitan autonomous bodies through improvements to the financial adjustment system such as grants and subsidies, and to actively manage the centr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on universal welfare projects, ease requirements for issuing local bonds, and operate the local grant tax system flexibly.
We can also consider additionally introducing a financial adjustment system centered on general resources that allocates general resources to local autonomous bodies with significantly low financial capacity or serious financial situations.
I believe that normalizing local finances is an important task for realizing the new government’s national administration philosophy on the ground.
8. Finally,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say to the residents?
- Dear Bupyeong residents! The time has come to wrap up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that has been running for a ‘greater Bupyeong.’
Over the past three years of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our district has worked hard to create a changed Bupyeong that the residents can feel.
Now, for the remaining year, I will improve the level of completion of the achievements made so far and push forward the major priority projects without a hitch.
And I will move forward with 1,400 Bupyeong public officials toward ‘Together Opening Tomorrow, Greater Bupyeong.’
I would like to thank the residents for their unwavering support and encouragement, and I will create Bupyeong’s tomorrow together with the 520,000 Bupyeong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