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24년도 폐기물 감소·재생에너지·지역상생 성과 발표
‘202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통계연감’ 발간, 폐기물 반입량 17% 감소 등 주요 지표 공개 등
기사입력: 2025/07/01 [14:51]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본관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환경부 산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공사)가 1일 ‘202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통계연감’을 발간하며, 폐기물 감소, 재생에너지 생산, 환경관리, 지역 상생 등 전 분야에 걸친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2024년 수도권매립지 반입폐기물 총량은 1,072천 톤으로, 전년(1,293천 톤) 대비 약 17% 감소했다. 

 

폐기물 반입량은 2022년 39%, 2023년 27% 각각 감소한 데 이어, 2024년에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자원순환 측면에서는 반입폐기물의 43%(460천 톤)를 자원화하여 재생에너지를 생산했다. 

 

하수찌꺼기(196천 톤)는 매립장 복토재와 고형연료로 활용됐고, 음식물폐수(264천 톤)는 바이오가스 시설을 통해 총 17,403천 ㎥의 바이오가스를 생산, 자체 에너지로 활용하거나 전력 생산에 사용됐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폐기물이 매립지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며 발생하는 매립가스(LFG)를 전량 포집해 50MW급 발전시설의 연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188.7GWh의 전력을 생산·판매했다. 

 

이는 약 5만 가구의 연간 전력 사용량이자 데이터센터 3개의 소비 전력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공사는 자원순환 전문기관으로서 현재까지 총 44건의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사업 타당성 조사 등 해외사업을 수행해왔다. 

 

2024년 기준으로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포함한 5건의 해외사업을 추진 중이며, 특히 몽골 울란바토르 NEDS 매립장에서는 공사가 직접 시설 설치 및 운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상생 성과도 이어졌다. 

 

2024년 주민지원기금은 116억 8천만 원이 적립되어 1992년부터 현재까지 5,071억 원의 주민지원기금이 주변 지역 지원에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2015년 4자 합의를 통해 반입수수료의 50%로 조성된 관할광역자치단체 지원금은 총 5,792억 원이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로 지원되어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개선에 함께 사용되고 있다.

 

한 해 동안 주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문화·체육 인프라 이용도 확대됐다. 

 

드림파크 체육시설(수영장 등)은 19만 5천 명이 이용했고, 봄·가을 축제를 개최하는 야생화단지 방문객은 53만 9천 명에 달했다. 

 

자원순환 시설 견학 프로그램에는 학생, 주민, 해외공무원 등 8,691명이 참여했다.

 

또한, 공사는 매립지 운영, 자원화 환경관리, 주민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지역 주민 등 2만 3천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송병억 사장은 “수도권매립지는 단순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넘어, 자원순환, 재생에너지 생산, 온실가스 감축, 주민 삶의 질 향상까지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환경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통계연감은 공사 누리집 정보자료실에서 전자책(E-BOOK) 형태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수도권매립지 총 면적은 1,600만 ㎡이며, 제1·2매립장은 폐기물 매립 종료 후 사후관리 중이며 현재 운영 중인 제3-1매립장의 매립률은 2025년 5월 말 기준 64%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apital Area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announces 2024 waste reduction, renewable energy, and regional coexistence results

'2024 Capital Area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Statistical Yearbook' published, major indicators such as 17% decrease in waste intake, etc.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The Capital Area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rporation)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ublished the '2024 Capital Area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Statistical Yearbook' on the 1st, and disclosed major achievements in all areas such as waste reductio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gional coexistence.

 

According to the Corporation, the total amount of waste brought into the Capital Area Landfill in 2024 was 1,072,000 tons, a decrease of approximately 1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1,293,000 tons).

 

The amount of waste imported decreased by 39% in 2022 and 27% in 2023, and the decrease will continue in 2024.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43% (460 thousand tons) of imported waste was recycled to produce renewable energy.

 

Sewage sludge (196 thousand tons) was used as landfill cover and solid fuel, and food waste (264 thousand tons) was used to produce a total of 17,403 thousand ㎥ of biogas through a biogas facility, which was used as self-energy or to generate electricity.

 

It is also noteworthy that renewable energy is produced from landfilled waste. All landfill gas (LFG) generated when waste naturally decomposes in landfills is captured and used as fuel for a 50 MW power plant, producing and selling 188.7 GWh of electricity in 2024.

 

This is equivalent to the annual power consumption of approximately 50,000 households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ree data centers.

 

As a specialized resource circulation organization, the corporation has carried out overseas projects such as feasibility studies on the installation of a total of 44 waste treatment facilities.

 

As of 2024, it is promoting five overseas projects, including inter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and in particular, the corporation is directly promot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facilities at the NEDS landfill in Ulaanbaatar, Mongolia.

 

The mutual growth performance with the local community has also continued.

 

In 2024, 11.68 billion won was accumulated in the resident support fund, and 507.1 billion won of the resident support fund has been used to support surrounding areas from 1992 to the present.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 support fund, which was established as 50% of the import fee through the 4-party agreement in 2015, is being used to improve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with a total of KRW 579.2 billion being suppor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Metropolitan Landfill Site Environmental Improvement Special Account, and is being used together to improve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The use of cultural and sports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has also expanded over the year.

 

195,000 people used the Dream Park sports facilities (swimming pool, etc.), and 539,000 people visited the Wildflower Complex, which holds spring and fall festivals.

 

8,691 people, including students, residents, and overseas public officials, participated in the resource recycling facility tour program.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mpany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providing jobs to 23,000 local residents and others through landfill operation, resource recycling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programs in 2024.

 

CEO Song Byeong-eok said, “The metropolitan landfill is positioned as a sustainable environmental platform that goes beyond a simple waste disposal facility, encompassing resource circulatio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create results that the public and local communities can feel in the future.”

 

The Metropolitan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Statistical Yearbook is available for anyone to easily access in e-book form in the information resource room of the Corporation’s website.

 

Meanwhile, the total area of ​​the metropolitan landfill is 16 million ㎡, and the 1st and 2nd landfills are currently undergoing post-management after the end of waste landfill, and the landfill rate of the 3-1 landfill currently in operation is 64% as of the end of May 2025.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