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인천서구, ‘민선8기 취임3년 ’강범석 서구청장이 그리는 서구의 내일
기본적인 삶이 보장되는 ‘안심도시’ 서구, 문화도시로 발돋움하는 ‘미래도시’ 서구
기사입력: 2025/06/30 [15:30]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민선8기제9대강범석서구청장 취임, 제2회 채용한마당, 현장에서 답을 찾는 기업인 간담회, 연두방문, 아라고등학교 도서관 개관식, 최우수기관 인증서 수여식(사진제공:인천서구)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2024 지방자치 경쟁력 평가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며 살기 좋은 안심 도시이자 발전 가능성 높은 미래도시로 인정받은 인천 서구.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은 취임 후 지난 3년간 아동·여성·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구축하는 데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는 평을 받는다.

 

2024년 한국지방자치경쟁력지수(KLCI) 평가에서 인천 서구는 경영성과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고, 경영자원 부문에서는 2위, 경영활동 부문에서는 3위를 차지하며, 모든 부문에서 3위권에 들었다. 

 

이는 인천 서구가 전국 69개 자치구 중 종합경쟁력 1위라는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을 의미한다.

 

인천 서구는 1위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64만 인구 돌파와 검단 분구 등 폭발적인 발전 가능성을 품은 도시지만, 끝없는 성장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지속 가능한 공존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이는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의 구정 철학에서 비롯한 결과다.

 

‘균형과 화합’이라는 깃발을 걸고 2022년 7월 출범한 민선 8기 강범석 구청장은 안심도시·미래도시라는 목표의 결실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강 청장이 말하는 ‘안심도시’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재해·재난·사고로부터의 안전, 다른 하나는 대열에서 탈락하지 않고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삶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복지 안전이다.

 

안심도시를 위해 강 청장이 강조하는 것은 ‘시스템 정립’이다. 사람과 상황이 바뀌어도 일관성 있게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최대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시스템을 정비하고, 아울러 취약계층에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복지 시스템을 다듬어 가는 데 에너지를 쏟고 있다. 

 

서구는 안심이라는 기본 토대 위에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품은 미래도시를 건설 중이다. 

 

청라·루원·검단 신도시를 중심으로 젊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에 걸맞은 도시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강 청장이 추구하는 ‘미래도시’의 핵심은 소프트 파워(Soft Power)를 갖춘 문화도시 건설이다. 

 

새로운 주거환경과 교통개선 등을 통해 편리한 도시환경이라는 하드웨어를 만들고, 그 바탕 위에 스타필드 청라&돔구장, 영상·문화 복합단지, 국제스케이트장을 결합한 스포츠 콤플렉스 등 무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자리 잡게 한다는 계획이다. 

 

더 나아가 청라·영종 등 경제자유구역이 서로 연계되고 협력해서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여 상업·문화·여가가 어우러지는 경제·문화 도시를 이룬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안심도시·미래도시’라는 서구의 비전을 돋보기 삼아, 현재진행형인 민선8기 인천 서구의 지난 3년과 앞으로 나아갈 로드맵을 분야별로 살펴본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 약자가 안심할 수 있어야 ‘안전 도시’ ▲복지재단 설립 등 복지도시 구현에 박차 ▲민생 현안의 열쇠는 ‘일자리’...상생하는 지역경제 ▲재난재해 대응 강화, ‘안전 하드웨어’ 구축할 것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 활발...신도시와 균형 찾는다. ▲미래도시 서구, 5년 후·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도시 ▲2026년 7월 검단 분구... 체계적인 사전 작업 중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구, 출생아 수 증가 ▲사람과 환경의 조화, 더 나은 그린 도시 서구▲민선 8기, 더 밝은 내일을 위한 도약

 

▲ 사회적 약자가 안심할 수 있어야 ‘안전 도시’

 

강범석 구청장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를 하나만 꼽으라면 단연 약자 보호다. 강 청장은 “자기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유아, 장애인, 노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가 안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서구는 사회 안전망을 확대하고 범죄 사전차단 및 예방 효과 증대를 위해 방범 CCTV 신규 설치 및 성능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인천 서구 곳곳에 있는 4032대의 CCTV를 기존의 저화질 카메라에서 200만 화소의 카메라로 전부 교체하여 운영 중이며, CCTV 통합관제센터에는 경찰관, 관제사, 관제요원이 24시간 CCTV를 관제·운영 중이다.

 

서구는 발달장애인과 치매환자를 위한 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현재 원창동에는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천 서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가 운영 중이며, 지난 5월에는 공립 치매전담형 종합요양시설인 서구치매안심누리 건립이 착공에 들어갔다. 

 

이 시설에는 요양원과 주간·단기보호센터가 갖춰지며 2027년 4월 준공을 목표로 한다.

 

장애인 행복드림타운도 지난 2022년부터 원창동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구 장애인의 복지욕구 해소 및 장애인이 행복하고 비장애인과 소통할 수 있는 시설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구는 ‘쓰담쓰담 치매환자 돌봄사업’을 통해 경증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인지 프로그램 ‘기억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치매안심마을로 연희동, 오류왕길동, 불로대곡동, 가좌4동, 석남2동 등 5개 동을 지정하여 집중 관리 중이다.

 

▲ 복지재단 설립 등 복지도시 구현에 박차

 

지난해 3월 설립한 인천서구복지재단은 민선 8기 서구의 복지 철학을 실현하는 복지컨트롤타워다. 

 

강범석 구청장은 복지재단 설립 이유에 대해 “분열과 갈등의 시대에서 그 틈이 더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게 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사회가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사람 간, 지역 간, 세대 간의 균형이 이뤄져야 하고, 서로 다르지만 공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그걸 위해 복지재단을 만들었고, 각 과를 아우르는 허브 기관으로서 복지재단이 플랫폼 창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구는 사회복지분야 관련 조사 연구를 추진하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맞춤형 복지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강범석 청장은 고립·은둔 인구 및 고독 중년, 고독사 위험이 높은 세대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강범석 청장은 “원도심 지역에 가면 전체 노인의 30~40% 이상이 독거노인이다. 사회가 양극화되며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사회의 연결고리도 끊어지고, 가족이 지탱해 주던 개인의 삶도 파편화되고 있다. 이 끈을 연결해서 그들에게 혼자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서구는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사업에 박차를 가해 인천 최초로 소득 구분 없는 5060세대 1인 가구(24,912명) 생활실태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활용하여 안부확인, 사회참여 유도 등을 시도했다. 

 

2024년 6월 고독사 예방 사업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사회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등을 추진했고, 권역별 고독사 예방을 위한 공동체 공간 활용사업 등 대상자별 맞춤 서비스 연계도 추진 예정이다.

 

아동보호시설에서 독립하는 자립준비청년 복지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서구는 2025년 2월 청년센터 서구1939에서 '제3차 십시일반 청년사랑 울타리 간담회'를 개최하고, 현재 관내 자립준비청년 대상에 지원하는 사업과 정책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범석 청장은 "서구청과 자립준비전담기관이 자립준비청년 현황을 세심하게 파악한 후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등 체계적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라며 "자립준비청년에게 막연한 지원보다는 삶에 필요한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 객관식 지원이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 민생 현안의 열쇠는 ‘일자리’... 상생하는 지역경제

 

서구의 경제 성과는 상생이라는 가치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일자리와 기업정책 등에서 상호 발전하는 공생을 지향한다.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의 경제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정책으로서, 신거북시장 쇼핑 특화 거리 조성사업,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촉진하고, 골목형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 특례보증 지원 등을 진행 중이다.

 

서구는 지난 3년간 매년 해외무역사절단을 파견해, 지역 내 기업들의 해외 판로 개척과 투자유치에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강범석 청장은 사절단과 동행하여, 서구 내 업체들이 현지 구매자와 MOU 계약을 맺는 등의 성과를 견인했다.

 

일자리도 빈틈없이 챙기고 있다. 

 

일자리 현안은 민생에 직결된 과제이자 경제회복의 출발점이라는 인식 아래 다양한 구인·구직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로써 인천 서구는 2024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2년 연속으로 최우수상을 수상(고용노동부)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끌어안는 일자리 안심 정책이 빛을 발하고 있다. 2023년 경력단절여성 실태조사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2024년 경력보유(단절)여성 구직활동비를 지원하는 등 일자리 취약 계층 중 하나인 여성의 구직 지원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에 인천 서구는 여성가족부가 선정한 ‘2023 여성친화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서구가 노인일자리와 장애인 일자리 개발에 기울이는 총력은 약자보호 정책의 일환이기도 하다. 서구는 내실 있는 노인일자리 창출 및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장애인 일자리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장애인 일자리 전담창구를 통해 관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기반을 위한 원스톱 취업 포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서구는 지난해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평가 최우수상, 사회적경제 가치대상 5년 연속 우수상 등 복지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서구 청년들에게 다양한 복지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중소기업 재직청년 복지공유제’를 통해 국내 숙박시설 숙박비를 지원하고, ‘재직청년 복지포인트 지원사업’을 통해 인천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 근로자에게 복지비를 지원하여 조기퇴사 방지 및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있다.

 

▲ 재난재해 대응 강화, ‘안전 하드웨어’ 구축할 것

 

강범석 청장은 “자연재해·사회적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범죄와 폭력·학대와 차별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 ‘안심 도시’를 강조했다.

 

이어 “안전은 누구나 추구하는 가치지만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은 늘 수반된다”라며 “서구는 예방 대책, 훈련, 대비, 조사 등을 통해 시스템 차원에서 안전한 도시의 하드웨어를 만들어가고 있다. 

 

시민들의 성숙한 안전의식도 동반돼야 한다”라며 안전에 관한 현실적인 접근을 보였다.

 

서구는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하천변 자동안전차단시설,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통해 선제적 재난 안전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가동 중이다.

 

또한, 2025년 3월부터 ‘2025 재난백서’ 제작에 돌입했다. 

 

이 재난백서는 지난 2024년 8월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차량 959대 피해 및 아파트 지하 주차장 소실 등)에 대한 대응 및 복구과정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담게 되며, 향후 유사 사고 발생 시 대응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지자체에 배포할 예정이다.

 

▲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 활발...신도시와 균형 찾는다

 

64만 인구를 돌파한 인천 서구는 원도심과 신도시의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청라·루원·검단 등 신도시에 집중됐던 개발 중심축을 원도심쪽으로 이동·확대할 예정이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도시관리의 첫 번째 실행으로, 가정동 일원 자연경관지구 해제를 통한 높이규제 완화를 꼽을 수 있다. 

 

가정동 550번지 일대는 35년간 자연경관지구로 지정되어 5층 이상의 (재)건축이 불가능했던 지역이었으나, 주변 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2023년 12월 가정동 자연경관지구 폐지 결정이 고시됨으로써 도시재생에 활기를 얻었다.

 

가좌1동 원도심 지역은 지난 2023년 12월 도시재생사업 국토부 주관 300억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가좌 회복의 숲, 환경회복 실증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역 특성에 맞는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 중이다. 석남3동 행복마을 가꿈사업 추진을 통해 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을 정비하고, 노후 주택 집수리와 빈집 정비 등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또한, 지역사회의 기본 뼈대로서 주민들의 생활을 활성화하고 풍요롭게 해줄 동 청사를 신축함으로써 더 나은 정주여건을 마련 중이다. 

 

석남1동 행정복지센터는 공원과 자연의 흐름을 내부로 유입하여 ‘마을 같은 행정복지센터’라는 콘셉트로 설계 중이며, 마전동 행정복지센터는 2025년 7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2026년 개관을 목표로 하는 가좌국민체육센터는 수영장, 다목적체육관, 도서관, 주차장 등을 갖춘 복합공간으로서, 주민들의 체육활동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을 목표로 건립 중이다.

 

지난 2023년 12월부터는 가좌3구역 원도심 저층 주거지 재생사업 준공을 시작했고, 상생마을 기반시설 확충사업 준공(23.12.29), 신현원마을 가로환경정비공사 준공(23.9.12), 가재울숲문화마을 원도심 저층 주거지 재생사업 추진(2019~2024) 등이 이뤄졌다.

 

▲ 미래도시 서구, 5년 후·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도시

 

도시 성장 기반이 활발하게 구축 중인 서구는 현재보다 5년 후·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미래도시다. 

 

특히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해 사통팔달 교통중심도시로 거듭날 예정이다. 지하철 연장선 개통, 도로 개설 및 정비사업, 2단계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구축 등이 한창이다.

 

지난 2022년 3월에는 서울7호선 청라연장선 사업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스타필드역’ 정거장이 청라에 추가될 예정이며, 인천 1호선 검단 연장선은 6월 27일 개통식을 열고 다음 날인 28일부터 정식 이용이 가능하다.

 

제3연륙교 개통에 따른 기대효과도 크다. 

 

오는 12월 말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는 중구 영종도와 서구 청라국제도시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개통 시 영종과 청라 간 이동 시간 단축 및 교통 편의성 향상,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활성화 등 여러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제3연륙교는 보도와 자전거 도로를 갖추고 있어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안을 따라 자전거 이음길 조성 사업과 연계하여 관광 상품 개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5년의 서구의 변화는 3개의 신도시 청라-검단-루원시티에 들어서는 주요 시설들을 중심으로 화려하게 꽃 피울 예정이다.

 

현재 서구는 가정동 루원시티에 복합청사와 소상공인 복합클러스터 등 공공기관을 유치하는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 산하 5개 공공기관이 사용할 루원복합청사는 행정·문화·복지·소통 기능이 어우러진 인천시 제2청사로, 오는 10월까지 준공하고 관계 기관들이 오는 11월과 12월 순차적으로 입주를 완료할 계획이다.

 

서구는 루원복합청사 건립을 비롯하여 구에서 추진 중인 국·시책 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

 

인천 서구 청라동의 인구는 올해 5월 기준 11만9960명(행정안전부 인구통계)이고, 가구 수는 지난 5년 동안 약 11% 늘었다. 

 

이러한 인구 성장에 발맞춰 다양한 업무 및 생활·문화 시설이 들어선다.

 

내년이면 하나금융그룹 본사가 들어서는 금융복합단지 '하나드림타운'이 조성되어 국제업무단지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026년 상반기 개관을 목표로 청라생활문화센터도 건설 중이다. 이 센터는 생활SOC복합화 시설로 생활문화센터, 다함께돌봄센터, 공동육아나눔터, 청소년이용공간 등 다양한 시설이 마련되어 주민의 건강한 여가활동과 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주민들의 기대를 모으는 시설은 2027년 청라에 오픈 예정인 스타필드 청라&돔구장이다. 

 

이곳은 복합쇼핑몰과 멀티스타디움 돔구장을 결합한 멀티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복합쇼핑몰 근처에는 청라의료복합타운이 조성되어 2029년 서울아산청라병원 등이 개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영상문화복합단지도 조성돼 청라신도시는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지로 더욱 발전할 전망이다.

 

▲ 2026년 7월 검단 분구... 체계적인 사전 작업 중

 

1년 앞으로 다가온 검단 분구는 현재 서구가 어느 것보다 총력을 기울이는 부문이다. 

 

검단신도시 개발 등으로 2025년 4월, 서구 인구수가 64만 명을 돌파하며 급증함에 따라 행정 서비스 수요도 증가했고, 이에 2026년 7월 검단구 출범이 확정된 것.

 

서구는 행정체제개편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앞두고 분구추진단 신설, 검단구 모듈러 임시청사 확보, 검단지역 주민설명회 개최 등 체계적인 사전 작업 및 공감대 형성으로 성공적 분구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분구와 함께 이뤄지는 서구 명칭 변경에도 심혈을 기울여, 최선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주민의 의견을 적극 경청하고 수렴 중에 있다.

 

2022년 7월 이후 강범석 청장은 동 연두방문, 퇴근길 톡!Talk!콘서트 등 찾아가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끊임없이 구민과 소통하며, 분구 준비에 구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려고 애썼다.

 

분구를 통해 행정 체제가 개편되고 행정복지센터 등이 신설되면 접근성 문제로 행정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검단 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해소되고, 보다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오는 8월 검단신도시 생활SOC복합청사가 준공되면 행정·복지·문화서비스를 하나로 아우르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주민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복합청사 안에는 아라동행정복지센터 민원실, 공공도서관, 주민자치센터, 주민 취미교실, 건강증진실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진다.

 

검단신도시 개발의 영향으로 2021년 동 신설 약 4년 만에 인구 7만 명이 급증한 서구 아라동의 분동도 추진하고 있다. 

 

오는 10월 아라동을 아라1동과 2동으로 분리하여 늘어난 민원 수요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된다.

 

검단은 최근 30~40대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은 지역인 만큼 신도시 내 생활편의시설은 물론이고 문화시설도 속속 갖추어 나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검단 박물관·도서관 복합문화시설이 검단신도시 문화공원 3호에 건립된다. 

 

생태보행로 등이 연결되며 자연과 문화가 조화를 이룰 이 공간은 박물관, 도서관, 교육 시설이 한 지붕 아래 모여 지역 주민과 방문객에게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제공한다. 

 

또한, 미래의 녹색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가 높다.

 

사법 서비스의 접근성도 한결 좋아진다. 

 

현재 검단을 포함한 인천 북부 지역 주민들은 민원 처리나 재판을 위해 인천 남동구 소재의 인천지방법원까지 장시간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따라서, 검단신도시에 건립 중인 인천지방법원 북부지원이 개원하게 되면 편의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할 것으로 내다본다. 

 

북부지원은 서구, 계양구, 강화군의 약 70만 명에 달하는 인구를 관할하게 된다. 

 

▲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구, 출생아 수 증가

 

서구는 세 개의 거물급 신도시를 보유한 만큼, 젊은 인구 비율이 높다.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서구는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급, 인천형 출생정책 1+1억dream, 어린이집·유치원 친환경 급식 지원, 야간·휴일 아동건강지킴이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보육 돌봄시설 확충에 무게를 두고 있다.

 

친출산 환경조성 및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임산부, 다자녀 출생아(둘째아 이상), 초기 아동양육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실현하고 있다. 

 

2024년 인천시 신규 사업으로 임산부 교통비 및 천사지원금 지급, 다자녀 지원 강화 정책으로 ‘첫만남 이용권’ 및 둘째아 이상 지원금을 기존 2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확대했다.

 

이런 지원 속에서 서구의 출생아 수는 지난 2월 기준(통계청) 4,236명으로 전년 대비 657명(15%) 증가했고, 합계출산율은 0.90명으로 인천 군·구 중 1위를 차지하며 국가문제로 대두되는 저출산 문제 해결의 모범적 선례가 되고 있다.

 

돌봄 관련 공약사항도 착실히 이행 중인 서구는 아이가 행복한 보육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공립어린이집을 2022~2025년 대폭 확충하여, 40개소를 추가 설치했다. 

 

이밖에도 인천형 공동육아나눔터(아이사랑꿈터) 6개소, 거점형 다함께돌봄센터도 7개소를 신규 개소했다.

 

이렇듯 아동이 행복하고 존중받는 서구를 만들기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서구는 지난 2017년 유니세프로부터 아동친화도시로 인정받았다. 

 

이어 지역사회 아동친화 인식수준을 측정하는 표준조사와 시민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성전략을 수립하여 2025년 6월 ‘아동친화도시 상위단계 재인증’을 신청할 예정이다.

 

서구는 아이를 낳아 돌보는 것뿐 아니라, 수준 높은 교육환경 구축에도 열심이다. 교육혁신지구 운영을 통해 배움과 돌봄이 조화롭게 결합한 마을교육을 제공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며, 64만 서구민 누구나 다양하게 즐기는 평생학습도 적극적으로 제공한다.

 

▲ 사람과 환경의 조화, 더 나은 그린 도시 서구

 

2025년 기준 인천시 내 군·구별 생활권 도시숲 1인당 면적을 살펴보면, 서구의 경우 약 13.25㎡로, 동구(6.52㎡), 계양구(4.85㎡), 미추홀구(4.34㎡), 부평구(3.09㎡) 등에 비해 높다.

 

서구는 주민 1인당 녹지 비율을 높이고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2년 말, 산림청·인천시와 함께 사업비 30억 원을 투입해 심곡천 녹지에 축구장 7개 크기(4.7ha 규모)의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을 완료했다.

 

또한, 서구는 2022년~2024년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대기오염물질 등이 생활권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고 도시 열섬화 및 폭염 등을 완화하기 위해 나섰다.

 

무엇보다, 2025년 4월 수도권 지자체 최초 정원도시 조성 시범사업에 서구가 선정돼, 초록으로 채워질 서구의 내일을 그려가고 있다.

 

▲ 민선 8기, 더 밝은 내일을 위한 도약 

 

강범석 청장은 “앞으로 남은 1년의 시간은 구민 여러분께 약속드린 민선 8기 성과물을 완성하는 데 구정 역량을 집중하여, 구민 한 분 한 분의 삶에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민생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하여 구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1년 앞으로 다가온 검단 분구라는 중대한 과제를 빈틈없이 준비하여 ‘경쟁력 1위 도시’라는 수식어에 걸맞은 도시의 모습을 구축하고자 총력을 다한다.

 

강범석 청장은 과정과 절차를 중요시한다는 원칙 아래, 주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는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주민과 함께 현안을 고민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다듬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소통과 신뢰로써 더 살기 좋은 서구를 만들어 가고 있는 민선 8기 강범석 청장은 “오늘보다 나은 내일, 아이와 청소년들이 미래를 꿈꾸는 도시, 구민의 삶이 풍요로운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저와 서구 공직자들은 온 힘을 다해 달리겠다”며 미래를 향한 서구의 도약을 약속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cheon Seo-gu, '3 years after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Seo-gu Mayor Kang Beom-seok's vision of Seo-gu's future

Seo-gu, a 'safe city' where basic living is guaranteed, Seo-gu, a 'future city' emerging as a cultural city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Incheon Seo-gu ranked first nationwide in the 2024 Local Autonomy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was recognized as a safe city to live in and a future city with high development potential.

 

Incheon Seo-gu Mayor Kang Beom-seok is evaluated to hav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building a city where socially vulnerable people such as children, wom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can live in peace over the past three years since taking office.

 

In the 2024 Korea Local Government Competitiveness Index (KLCI) evaluation, Incheon Seo-gu ranked first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category, second in the management resources category, and third in the management activities category, ranking in the top three in all categories.

 

This means that Incheon Seo-gu achieved the best result of first place in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among 69 autonomous districts nationwide.

 

Incheon Seo-gu is a city with explosive growth potential, such as exceeding 640,000 people and the Geomdan branch, befitting its title of first place, but rather than pursuing endless growth, it is striving for sustainable coexistence.

 

This is the result of the administrative philosophy of Incheon Seo-gu Mayor Kang Beom-seok.

 

The 8th elected mayor Kang Beom-seok, who was launched in July 2022 under the banner of ‘balance and harmony,’ is concentrating his administrative power to achieve the goal of a safe city and a city of the future.

 

The ‘safe city’ that Mayor Kang refers to has two main aspects. One is safety from disasters, calamities, and accidents, and the other is welfare safety, which allows people to maintain a basic life as human beings without being left out of the line.

 

What Mayor Kang emphasizes for a safe city is ‘system establishment.’ The goal is to build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consistently even when people and situations change.

 

He is pouring his energy into organizing a safety system to prevent accidents as much as possible and refining the welfare system to enable customized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The West is building a future city with infinite possibilities on the basic foundation of safety.

 

The young population is continuously flowing in, centering on the new cities of Cheongna, Ruwon, and Geomdan, and the construction of urban infrastructure to match this is actively underway.

 

The core of the ‘future city’ that Mayor Kang pursues is the construction of a cultural city with soft power.

 

The plan is to create hardware for a convenient urban environment through new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improved transportation, and to establish intangible high value-added industries such as Starfield Cheongna & Dome Stadium, a video and culture complex, and a sports complex combining an international skating rink on top of that.

 

Furthermore, the plan is to create an economic and cultural city where commerce, culture, and leisure are combined by linking and cooperating with economic free zones such as Cheongna and Yeongjong to create synergy effects.

 

Using the vision of Seo-gu as a ‘safe city and future city’ as a spotlight, we will examine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roadmap for the future of Incheon Seo-gu, which is currently in progress during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by sector. The composition is as follows.

 

▲ A ‘safe city’ where the socially disadvantaged can feel safe ▲ Accelerating the implementation of a welfare city, such as by establishing a welfare foundation ▲ The key to the people’s livelihood is ‘jobs’… a coexisting local economy ▲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establishing ‘safe hardware’ ▲ Active downtow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nding a balance with new cities ▲Future city Seo-gu, a city with even more expectations in 5 and 10 years ▲Geomdan-gu in July 2026... Systematic preparatory work in progress ▲Seo-gu, a city good for raising children, increasing number of births ▲Harmony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Seo-gu, a better green city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a leap forward for a brighter tomorrow

 

▲ A ‘safe city’ where the socially vulnerable can feel safe

 

If you had to pick one area that Mayor Kang Beom-seok is most passionate about, it would definitely be protecting the vulnerable. Mayor Kang stated, “Socially vulnerable people such as infants,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women with low self-defense capabilities should feel safe.”

 

To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and prevention, Seo-gu has installed new security CCTVs and improved their performance.

 

Incheon Seo-gu has replaced all 4,032 CCTVs in various locations with 2-megapixel cameras from low-quality cameras, and is currently in operation. Police officers, controllers, and control agents are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CCTV 24 hours a day at the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Seo-gu is expanding facilitie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dementia patients. Currently, the Incheon Seo-gu Developmental Disabled Lifelong Education Center, which supports various program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their families, is in operation in Wonchang-dong. In May, construction began on the Seo-gu Dementia Ansim Nuri, a public comprehensive dementia care facility.

 

This facility will have a nursing home and a day/short-term care center, and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April 2027.

 

The Happy Dream Town for the Disabled has also been promoted in Wonchang-dong since 2022. Through this, the plan is to resolve the welfare needs of the disabled in Seo-gu and create a facility infrastructure where the disabled can be happy and communicate with the non-disabled.

 

In addition, Seo-gu is operating a specialized cognitive program called ‘Memory Shelter’ for mild dementia patients through the ‘Tssdam Tssdam Dementia Patient Care Project’ and is intensively managing five districts including Yeonhui-dong, Oryuwanggil-dong, Bullo Daegok-dong, Gajwa 4-dong, and Seoknam 2-dong as Dementia Peace Villages.

 

▲ Accelerating the implementation of a welfare cit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welfare foundation

 

The Incheon Seo-gu Welfare Foundation, established in March of last year, is a welfare control tower that realizes the welfare philosophy of the 8th elected Seo-gu.

 

Regarding the reason for establishing the welfare foundation, Mayor Kang Beom-seok explained, “I think it is my duty to prevent the gap from widening further in an era of division and conflict. In order for society to be balanced, there must be a balance between people, regions, and generations, and a foundation for coexistence despite being different must be created. For that, the welfare foundation was established, and as a hub organization encompassing each department, the welfare foundation will serve as a platform window.”

 

Seo-gu is conducting research on social welfare and implementing customized welfar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In particular, Director Kang Beom-seok i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isolated and reclusive population, lonely middle-aged people, and the generation at high risk of dying alone.

 

Director Kang Beom-seok said, “If you go to the downtown area, more than 30-40% of all elderly people live alone. As society becomes more polarized and centrifugal force takes effect, the social ties are broken, and the lives of individuals supported by their families are becoming fragmented. We are trying to connect these ties and tell them that they are not alone.”

 

Seo-gu is spurring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s project,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5060 single-person households (24,912 people) regardless of income for the first time in Incheon, and using the results to check on their well-being and encourage social participation.

 

In June 2024, we signed a business agreement to activate the prevention of lonely deaths, promoted programs to form social networks, etc., and plan to promote customized service linkages for each target group, such as community space utilization projects for preventing lonely deaths by region.

 

We are also devoting our heart and soul to the welfare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o are becoming independent from child protection facilities. Seo-gu held the '3rd 10-1 Youth Love Fence Discussion' at the Seo-gu 1939 Youth Center in February 2025 and had time to explain the projects and policies currently being supported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the district.

 

Mayor Kang Beom-seok said, "I think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such as having the Seo-gu Office and the independent preparation specialized agency careful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independent preparation youth and then seek advice from experts." He added, "Rather than vague support for independent preparation youth, I hope that objective support is created that allows them to choose the parts they need in their lives."

 

▲ The key to people's livelihood issues is 'jobs'... A coexisting regional economy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eo-gu is centered on the value of coexistence. It aims for coexistence where jobs and corporate policies develop together.

 

As a policy that actively supports the economic activities of small business owners, who are the found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it is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projects such as the creation of a shopping street specializing in the Shingeobuk Market and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nd is carrying out projects such as the revitalization support project for alley-type shopping districts and special guarantee support.

 

Seo-gu has been dispatching overseas trade delegations every year for the past three years, acting as a bridge for local companies to develop overseas markets and attract investment.

 

Commissioner Kang Beom-seok accompanied the delegation and led the achievements such as companies in Seo-gu signing MOUs with local buyers.

 

Jobs are also being taken care of without fail.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current employment issue is a task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lihood and the starting point of economic recovery, various recruitment and job search suppor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and as a result, Incheon Seo-gu achieved outstanding results by winning the grand prize for two consecutive years in the 2024 National Local Government Job Award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particular, the job security policy that embraces the socially disadvantaged is shining. In 2023, a research service for a survey on the status of women with career gaps was conducted, and in 2024, job search expenses for women with career gaps were supported, making efforts to support job search for women, one of the vulnerable groups in the job market.

 

Accordingly, Incheon Seo-gu was selected as a '2023 Women-Friendly Cit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all-out effort that Seo-gu is making to develop job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s also part of the policy to protect the vulnerable. Seo-gu is actively working to create and expand substantial jobs for the elderly and is also working to develop jobs for the disabled.

 

We provide a one-stop employment portal service for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disabled in the district through the dedicated employment office for the disabled.

 

With these efforts, Seo-gu stood out in the welfare sector by being selected as an excellent institution in the evaluation of senior citizen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s last year, winning the grand prize in the national local government employment evaluation, and receiving the excellence award for five consecutive years in the social economy value award.

 

We also provide various welfare benefits to young people in Seo-gu who are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rough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mployee Youth Welfare Sharing System,’ we support accommodation costs at domestic accommodations, and through the ‘Employee Youth Welfare Point Support Project,’ we support welfare expenses for young worker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Incheon, thereby preventing early retirement and encouraging long-term employment.

 

▲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establishing ‘safety hardware’

 

Chairman Kang Beom-seok emphasized the ‘safe city,’ saying, “We are working hard to create a city that is safe from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a city that is safe from crime, violence, abuse, and discrimination.”

 

He continued, “Safety is a value that everyone pursues, but it always comes with a certain degree of uncertainty,” and “The West is creating hardware for a safe city at the system level through preventive measures, training, preparation, and investigation.

 

It must also be accompanied by a mature safety awareness of citizens,” showing a realistic approach to safety.

 

The West is currently operating a preemptive disaster safety response system through support projects for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assageway entrance blocking facilities, riverside automatic safety blocking facilities, and flood preven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he ‘2025 Disaster White Paper’ began in March 2025.

 

This disaster white paper will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sponse and recovery process for the electric vehicle fire that occurr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in Cheongna International City, Incheon in August 2024 (damaging 959 vehicles and destroy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nd plans to distribute it to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sponse guideline in the event of a similar accident in the future.

 

▲ Active downtow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nding balance with new cities

 

Seo-gu, Incheon, which has surpassed 640,000 population, is aiming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downtown and new cities.

 

The development axis, which has been focused on new cities such as Cheongna, Ruwon, and Geomdan, will be moved and expanded toward downtown.

 

The first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urban management for downtown revitalization is the relaxation of height restrictions through the lifting of the Gajeong-dong natural landscape district.

 

The area around 550 Gajeong-dong was designated as a natural landscape district for 35 years, making (re)construction of buildings higher than 5 stories impossible, but the decision to abolish the Gajeong-dong natural landscape district was announced in December 2023 to reflect changes in surrounding conditions, thereby revitalizing urban regeneration.

 

The Gajwa 1-dong downtown area was selected for the 30 billion won public offering project hos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December 2023, and is currently promoting the ‘Gajwa Recovery Forest, Environmental Recovery Demonstration City’ project.

 

In addition, downtow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re being promoted. Through the promotion of the Seoknam 3-dong Happy Village Dream Project, infrastructure and shared facilities will be renovated,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repair of old houses and the reorganization of empty houses.

 

In addition, a new building for the local government office that will serve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local community and revitalize and enrich the lives of residents is being constructed to create better living conditions.

 

The Seoknam 1-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is being designed with the concept of a ‘village-lik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by incorporating the flow of parks and nature into the interior, and the Majon-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July 2025.

 

The Gajwa National Sports Center, which is scheduled to open in 2026, is a complex space equipped with a swimming pool, multipurpose gymnasium, library, and parking lot, and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with the goal of contributing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residents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In December 2023, the Gajwa 3-gu downtown low-rise residential regeneration project began, and the Sangsaeng Village infrastructure expansion project was completed (23.12.29), the Shinhyeonwon Villag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was completed (23.9.12), and the Gajaeul Forest Culture Village downtown low-rise residential regeneration project was promoted (2019~2024).

 

▲ Future city Seo-gu, a city with more expectations in 5 and 10 years

 

Seo-gu, where the foundation for urban growth is actively being built, is a future city with more expectations in 5 and 10 years than it is now.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be reborn as a transportation-centered city with good connections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The subway extension line opening,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stag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re in full swing.

 

In March 2022, the Seoul Line 7 Cheongna extension line project plan was approved, and the 'Starfield Station' stop will be added to Cheongna. The Incheon Line 1 Geomdan extension line will hold an opening ceremony on June 27 and will be officially open for use the following day, the 28th.

 

The expected effects of the opening of the 3rd Yeongnyuk Bridge are also great.

 

The 3rd Yeongnyuk Bridge, scheduled to open at the end of December, is a bridge connecting Yeongjong Island in Jung-gu and Cheongna International City in Seo-gu. When it opens, it is expected to have many positive effects, such as shortening the travel time between Yeongjong and Cheongna, improving transportation convenience,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revitalizing tourism.

 

In particular, the 3rd Yeongnyuk Bridge is expected to help attract tourists as it has sidewalks and bicycle paths,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linking it with the bicycle path construction project along the coast.

 

The changes in Seo-gu over the next five years will bloom splendidly, centering around the major facilities in the three new cities of Cheongna-Geomdan-Ruwon City.

 

Currently, Seo-gu is promoting an urban development project to attract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 complex office building and a small business complex cluster to Ruwon City in Gajeong-dong.

 

The Ruwon Complex Office Building, which will be used by five public institutions under Incheon City, is the second office building of Incheon City that combines administrative, cultural, welfare,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t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October, and related organizations will move in sequentially in November and December.

 

Seo-gu is actively supporting and consulting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Ruwon Complex Office Building and other national and municipal projects being promoted by the district can be actively promoted.

 

As of May of this year, the population of Cheongna-dong, Seo-gu, Incheon was 119,960 (population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1% over the past five years.

 

In line with this population growth, various business and living/cultural facilities will be built.

 

Next year, the financial complex 'Hana Dream Town' where the headquarters of Hana Financial Group will be built will be built,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business complex is expected to be in full swing.

 

The Cheongna Living Culture Center is also under construction, aiming to open in the first half of 2026. This center is a living SOC complex facility with various facilities such as a living culture center, a care center for everyone, a shared childcare center, and a youth space,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welfare of residents.

 

The facility that residents are most looking forward to is Starfield Cheongna & Dome Stadium, scheduled to open in Cheongna in 2027.

 

This is a multi-entertainment space that combines a complex shopping mall and a multi-stadium dome stadium, and Cheongna Medical Complex Town will be built near the complex shopping mall, and Seoul Asan Cheongna Hospital is scheduled to open in 2029.

 

In addition, with the creation of a video culture complex, Cheongna New Town is expected to further develop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ial center.

 

▲ July 2026, Geomdan District... Systematic pre-work in progress

 

Geomdan District, which is approaching in one year, is currently the sector that Seo-gu is putting the most effort into.

 

As the population of Seo-gu rapidly increased to 640,000 in April 2025 due to the development of Geomdan New Town, the demand for administrative services also increased, and the launch of Geomdan District in July 2026 was confirmed.

 

In preparation for the important task of administrative system reorganization, Seo-gu is working to successfully promote the district division through systematic pre-work and consensus-building, such as establishing a district division promotion team, securing a modular temporary office building for Geomdan District, and holding a Geomdan District resident briefing session.

 

In addition, we are putting our heart and soul into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western district along with the division, and we are actively listening to and collec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to arrive at the best agreement.

 

Since July 2022, Mayor Kang Beom-seok has continuously communicated with residents through on-site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visits to the east and Talk! Talk! concerts on the way home, and has tried to sufficiently reflect the opinions of residents in the preparation of the divis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convenience of residents in the Geomdan area who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 in using administrative services due to accessibility issues will be resolved and more efficient administrative services will be possible when the administrative system is reorganized through the division and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is newly established.

 

When the Geomdan New Town Living SOC Complex Building is completed in August, it will be used as a space that integrates administrative, welfare, and cultural services,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The complex building will be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such as the Ara-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Civil Affairs Office, public library, resident autonomy center, resident hobby classroom, and health promotion room.

 

Due to the development of Geomdan New Town, the division of Seo-gu Ara-dong, which has seen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70,000 in just four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21, is also being promoted.

 

In October, Ara-dong will be divided into Ara 1-dong and 2-dong to more efficiently handle the increased civil complaints.

 

Geomdan is a region that has recently become popular with young people in their 30s and 40s, so not only are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new town being built, but cultural facilities are also being built one after anoth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Geomdan Museum and Library Complex Cultural Facility will be built in Geomdan New Town Cultural Park No. 3.

 

This space, where nature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ecological walking trails, will bring together museums, librari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under one roof to provid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to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t is also expected to establish itself as a future green landmark.

 

Accessibility to judicial services will also improve significantly.

 

Currently, residents of the northern part of Incheon, including Geomdan,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s as they have to travel long distances to the Incheon District Court in Namdong-gu, Incheon to handle civil complaints or attend trials.

 

Therefore, convenience and efficiency are expected to greatly improve when the Northern Branch of the Incheon District Court, which is currently being built in Geomdan New Town, opens.

 

The Northern Branch will have jurisdiction over a population of approximately 700,000 in Seo-gu, Gyeyang-gu, and Ganghwa-gun.

 

▲ Seo-gu, a city good for raising children, increases birth rate

 

Seo-gu has three major new cities, so it has a high proportion of young people.

 

In order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raising children, Seo-gu is focusing on providing incentives for fathers to take childcare leave, Incheon-style birth policy 1+100 million dream, eco-friendly meal support for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operating Moonlight Children's Hospital, a nighttime and holiday child health guardian, and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In order to create a pro-childbirth environment and ease the economic burden on families raising children, support for pregnant women, those with multiple children (second child or more), and families raising children in the early stages is being strengthened to realize a city that is good for raising children.

 

As a new project for Incheon City in 2024, transportation expenses and angel support for pregnant women will be provided, and as a policy to strengthen support for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the ‘first meeting voucher’ and support for those with second or more children will be expanded from 2 million won to 3 million won.

 

Amid such support, the number of newborns in Seo-gu increased by 657 (15%) year-on-year to 4,236 as of February (Statistics Korea),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was 0.90, ranking first among Incheon counties and districts, becoming an exemplary precedent for solving the low birth rate problem that has emerged as a national issue.

 

Seo-gu, which is also faithfully implementing its pledges related to care, has significantly expande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from 2022 to 2025 to establish a childcare infrastructure where children can be happy, adding 40 more.

 

In addition, six Incheon-type joint childcare sharing centers (Child Love Dream Centers) and seven hub-type all-together care centers have been newly opened.

 

Seo-gu, which is making all-out efforts to create a Seo-gu where children are happy and respected, was recognized as a child-friendly city by UNICEF in 2017.

 

Following this, it plans to apply for ‘Child-Friendly City Upper Level Recertification’ in June 2025 by establishing a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of a standard survey measur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child-friendliness in the local community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citizens.

 

Seo-gu is not only passionate about giving birth to and caring for children, but also about establishing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Innovation District, we are practicing student-centered education by providing village education that harmoniously combines learning and care, and we are also actively providing lifelong learning that all 640,000 Seo-gu residents can enjoy in various ways.

 

▲ Harmony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Seo-gu, a better green city

 

Looking at the area of ​​urban forests per person in each county and district in Incheon City as of 2025, Seo-gu is approximately 13.25㎡, which is higher than Dong-gu (6.52㎡), Gyeyang-gu (4.85㎡), Michuhol-gu (4.34㎡), and Bupyeong-gu (3.09㎡).

 

Seo-gu is carrying out various projects to increase the ratio of green space per resident and block fine dust.

 

At the end of 2022, we completed the creation of a ‘fine dust blocking forest’ the size of 7 soccer fields (4.7ha) in the Simgokcheon green space with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Incheon City by investing 3 billion won in project costs.

 

In addition, the West District is promoting the ‘Climate Response Urban Forest’ project from 2022 to 2024 to prevent air pollutants from spreading into the living area and to alleviate urban heat islands and heat waves.

 

Above all, the West District was selected as the first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to create a garden city pilot project in April 2025, and is drawing a picture of the future of the West District filled with greenery.

 

▲ The 8th elected government, a leap forward for a brighter tomorrow

 

Mayor Kang Beom-seok said, “For the remaining year, I will focus my administrative capabilities on completing the 8th elected government achievements that I promised to the residents, and do my best to bring about tangible changes in the lives of each and every resident.”

 

In particular, we will do our best to ensure that the daily lives of the residents are not shaken by prioritizing the restor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also to prepare thoroughly for the important task of the division of Geomdan, which is approaching in one year, and to build a city that lives up to the title of ‘the most competitive city.’

 

Mayor Kang Beom-seok is making efforts to widely collect the opinions of residents under the principle of valuing process and procedures, and is thinking about current issues together with residents and refining them into more effective policies.

 

Mayor Kang Beom-seok of the 8th local government, who is making Seo-gu a better place to live in through communication and trust, promised Seo-gu’s leap forward toward the future, saying, “I and Seo-gu public officials will run with all our might to create a better tomorrow than today, a city where children and youth can dream of the future, and a city where the lives of residents are enriched.”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