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인천시, 고립가구 발굴·지원 등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수립 추진
고독사 예방 체계 구축 등 4대 추진 전략 12개 단위과제 45개 세부사업
기사입력: 2025/01/08 [11:11]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가 8일, 고독사 위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상담 및 치료, 서비스 연계를 통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2025년 인천광역시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시에 따르면, 이번 시행계획은 고독사 위험군 발굴과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해 고독사 위험군 발굴·관리, 사회적 연결망 강화, 생애주기별 서비스 지원, 예방 체계 구축을 4대 추진 전략을 주축으로 12개 단위과제와 45개 세부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고독사 전담인력(4명)을 확보해 전문성 강화를 통한 고독사 관리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민간 협력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 프로그램(자조모임, 문화활동 등)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또한, 지역상점 쿠폰 등을 활용해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증진하고, 외부 활동을 유도하는 프로그램도 시행된다.

 

고독사 예방 대상자에게는 생애 주기별 맞춤형 서비스가 연계 지원된다. 

 

청년층을 위한 청년도전지원, 청년중독지원사업 등과 중장년층을 위한 취업지원, 평생교육, 일상돌봄 서비스 등이 제공되며, 노인층에는 노인맞춤돌봄, 방문건강관리사업, 노인일자리 지원 등을 통해 홀로서기를 돕는다.

 

보건복지부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인천시의 고독사 사망자는 2021년 248명에서 2022년 215명, 2023년 208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2022년부터 시행된 고독사 예방 정책과 다양한 지원사업의 누적된 성과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인천시는 ‘돌봄플러그’와 ‘인공지능(AI) 안부확인 서비스’를 통해 고독사 위험군의 이상 징후를 발견하고 신속한 현장 방문․지원으로 대상자를 신속히 요양병원으로 이송한 사례가 있는 만큼 서비스 고도화도 검토해 갈 예정이다.

 

올해는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의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고독사 위험요인을 고려한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발굴된 대상자에게는 마음회복, 관계회복, 일상회복,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cheon City,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Implementation Plan for Prevention of Deaths from Loneliness’ including Excavation and Support of Isolated Households

4 Major Promotion Strategies, including Establishment of Solitary Death Prevention System, 12 Unit Tasks, 45 Detailed Projects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Incheon City announced on the 8th that it will establish and fully implement the ‘2025 Incheon Metropolitan City Solitary Death Prevention Implementation Plan’ to prevent lonely deaths through early detection of those at risk of lonely deaths and counseling, treatment, and service linkage.

 

According to Incheon City, this implementation plan includes 12 unit tasks and 45 detailed projects centered on 4 major promotion strategies: discovering and managing lonely death risk groups,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supporting life cycle services, and establishing a prevention system to identify and resolve social isolation.

 

The main contents include securing dedicated personnel for lonely deaths (4 peopl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promoting lonely death management through strengthening expertise, and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for private cooperation and social network formation (self-help groups, cultural activities, etc.) to prevent isolation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o promot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encourage external activities by utilizing local store coupons, etc.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life cycle are provided to lonely death prevention targets.

 

Youth challenge support and youth addiction support projects for young people, and employment support, lifelong education, and daily care services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re provided, and elderly people are helped to stand on their own through customized elderly car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s, and elderly job support.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umber of lonely deaths in Incheon City decreased from 248 in 2021 to 215 in 2022 and 208 in 2023.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ccumulated results of the isolation death prevention policy implemented since 2022 and various support projects.

 

In particular, Incheon City plans to review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s there have been cases where abnormal signs of isolation death risk group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Care Plug’ and ‘AI Well-being Checkup Service’ and the subjects were quickly transferred to nursing hospitals through rapid on-site visits and support.

 

This year, the ‘Youth Isolation Death High-Risk Group Support Project’ will also be promoted, considering the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isolation death risk factors of the youth Isolation Death High-Risk Group. 

 

Customized services will be provided to the identified subjects by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mental recovery, relationship recovery, daily life recovery, and more.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