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인천광역시사 제15호 '해양문화교류의 거점, 인천' 발간
해양도시 인천의 역사와 문화, 경기만 연안과 섬, 황해를 아우르는 거점 역할 조명
기사입력: 2025/01/07 [11:07]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인천광역시사 제15호 발간 (사진제공:인천시)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가 7일, 해양도시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고, 경기만 연안과 섬, 황해를 아우르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조명한 인천광역시사 제15호 ‘해양문화교류의 거점, 인천’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양도시로, 천혜의 자연환경을 간직한 갯벌과 서해 5도를 포함한 168개의 섬을 보유하고 있어 해양 생태계의 보물창고로 불린다. 

 

특히 고대 환황해연안로 요충지에 자리해 해양과 내륙을 연결하며 주변 지역과 활발한 교류를 이어왔다.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한다(all ways INCHEON)’라는 말이 과하지 않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번에 발간된 인천광역시사 제15호 ‘해양문화교류의 거점, 인천’은 해양도시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총 2권으로 구성됐으며 집필은 지리학, 수중고고학, 역사학, 민속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2명이 맡았다.

 

상권에서는 인천의 섬과 연안 갯벌 등 해양환경과 자연유산, 인천해역의 침몰선(영흥도선·고승호)과 바다에서 발굴된 다양한 수중유물, 고대부터 근대까지의 해양 교류, 인천의 포구, 조선 후기 인천 연안의 방어체제, 인천항 축항과 갑문 등 해양도시 인천의 역사를 상세히 다룬다.

 

하권에서는 간척과 매립을 통해 변화된 인천 연안의 모습, 갯벌을 삶의 터전으로 삼은 주민들의 이야기, 해양 설화와 같은 해양문화 콘텐츠, 그리고 문학작품에 나타난 인천의 바다와 항구 등 다양한 시각에서 해양문화를 조명한다.

 

이번 시사의 발간은 인천의 지정학적,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정리하고, 미래 해양도시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자연과학, 고고학, 역사학, 민속학, 문학 등 여러 전공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에 참여해 융합적 성과를 이뤘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인천시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인 유정복 시장은 발간사에서 “인천은 대한민국의 거점 도시로 성장하며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도약했다”며 “이 모든 성과는 바다를 사랑하고 가꿔온 인천 시민들의 노력 덕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시사에는 오랜 시간 바다와 섬을 지키며 살아온 인천 시민들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광역시사 제15호 '해양문화교류의 거점, 인천'은 인천광역시 전자책 누리집에서 누구나 찾아볼 수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cheon Metropolitan City History No. 15, ‘Incheon, a hub for maritime cultural exchange’ published

Illumina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a maritime city, and its role as a hub encompassing the Gyeonggi Bay coast, islands, and the Yellow Sea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Incheon City announced on the 7th that it published Incheon Metropolitan City History No. 15, ‘Incheon, a hub for maritime cultural exchange’, which contai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a maritime city, and its role as a hub encompassing the Gyeonggi Bay coast, islands, and the Yellow Sea.

 

According to Incheon City, Incheon is a maritime city representing the Republic of Korea, and is called a treasure trove of the marine ecosystem, possessing tidal flats with a natural environment and 168 islands including the five islands of the West Sea.

 

In particular, it was located at a strategic point along the ancient Yellow Sea Coastal Route, connecting the ocean and the inland, and actively interacting with surrounding areas. This is why the saying, “All roads lead to Incheon (all ways INCHEON)” is not an exaggeration.

 

The 15th issu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History, “Incheon, a hub of maritime cultural exchange,” published this time, consists of two volum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maritime city of Incheon, and was written by 12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geography, underwater archaeology, history, folklore, and literature.

 

The upper volume covers the history of the maritime city of Incheon in detail, including the islands and coastal tidal flats of Inche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natural heritage, sunken ships (Yeongheungdo Ship and Go Seungho) in the Incheon waters, various underwater relics excavated from the sea, maritime exchange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Incheon’s ports, the defense system of Incheon’s coa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onstruction and locks of Incheon Port.

 

The second volume sheds light on maritime cul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appearance of Incheon’s coast changed through reclamation and landfill, the stories of residents who made tidal flats their home, maritime cultural content such as maritime tales, and the sea and ports of Incheon as depicted in literary works.

 

The publication of this current affairs is significant in that it organizes Incheon’s geopolitical,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nd presents a vision for a future maritime city. It is also noteworthy that expert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natural science, archeology, history, folklore, and literatu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gether to achieve convergent results.

 

Mayor Yoo Jeong-bok, chairman of the Incheon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said in his publication speech, “Incheon has grown into a hub c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leaped forward as a global maritime powerhouse,” and “All of these achievements are thanks to the efforts of Incheon citizens who love and nurture the sea.”

 

He added, “This current affairs contai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citizens who have lived protecting the sea and islands for a long time.”

 

Incheon Metropolitan City History No. 15, ‘Incheon, a hub for maritime cultural exchange’ can be found by anyone o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e-book website.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