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부천시, 일본 유행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감시체계 돌입... .예방수칙준수 당부
기사입력: 2024/03/29 [13:34]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독성쇼크증후군(STSS) 예방수칙 안내문(사진제공:부천시)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부천시가 29일, 최근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의 유입 차단을 위해 집중감시체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부천시에 따르면, 일본의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는 코로나19 유행 기간에 발생이 감소했으나, 2023년 941명으로 증가했고 2024년 2월까지 신고된 환자 수가 414명으로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부천시는 관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독성쇼크증후군(STSS)과 동일한 원인균인 성홍열(A형 연쇄상구균)에 대한 전수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발생상황을 지속 확인하는 등 유입 차단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은 주로 점막 또는 상처 부위의 접촉이나 비말을 통한 호흡기로 감염된다. 

 

초기에는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보이고 회복될 수 있으나, 중증으로 진행되면 호흡곤란, 장기부전과 괴사, 패혈증 쇼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관리청이 제시한 독성쇼크증후군(STSS) 예방수칙으로 기침예절 실천,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상처 부위를 깨끗이 소독하고 외부 노출 최소화,의심 증상 발생 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수두 및 인플루엔자 백신접종 권고 등이 있다.

 

다만, 독성쇼크증후군(STSS)과 같은 원인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의 국내 발생이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매우 낮은 점을 고려할 때 국내 유행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with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making efforts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cheon City enters a surveillance system for streptococcus toxic shock syndrome, which is prevalent in Japan... Requests to follow prevention rules

-Break News Incheon Reporter Park Sang-do

 

Bucheon City announced on the 29th that it will begin an intensive surveillance system to block the influx of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which has recently become prevalent in Japan.

 

According to Bucheon Cit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oxic shock syndrome (STSS) in Japan decreased during the COVID-19 epidemic, but increased to 941 in 2023, and the number of patients reported by February 2024 continues to increase, with 414.

 

Accordingly, Bucheon City is making every effort to block the inflow of scarlet fever (type A streptococcus), the same causative agent of toxic shock syndrome (STSS), at medical institutions within the jurisdiction by strengthening the comprehensive surveillance system and continuously checking the outbreak situation.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is mainly transmitted through respiratory tract contact through droplets or contact with mucous membranes or wounds.

 

In the beginning, mild respiratory symptoms similar to influenza can be experienced and recovery is possible, but if it progresses to severe disease, it can lead to breathing difficulties, organ failure and necrosis, and septic shock.

 

Toxic shock syndrome (STSS) prevention guidelines presen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clude practicing coughing etiquette, washing hands properly, not touching your eyes, nose, and mouth with unwashed hands, thoroughly disinfecting the injured area, minimizing external exposure, and when suspected symptoms occur. Recommendations include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to receive appropriate treatment and vaccination against chickenpox and influenza.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domestic incidence of scarlet fever, which can be infected with pathogens such as toxic shock syndrome (STSS), is very low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epidemic, the possibility of a domestic outbreak is expected to be small.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