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aT, 공군부대 ‘공공급식통합플랫폼 사용자 교육’ 실시
플랫폼 기능 활용 장병 선호도 반영한 식단편성, 인원수에 따른 식재료 소요량 계산 등
기사입력: 2025/03/26 [13:59]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공군 대상 공공급식통합플랫폼 사용자 교육(사진제공: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가 지난 25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공공급식통합플랫폼을 사용 예정인 공군부대 영양관리와 계약 담당자를 대상으로 ‘공공급식통합플랫폼 사용자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aT에 따르면, 공공급식통합플랫폼은 급식 식재료가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2022년 9월 확대 개설된 급식 전문 전자조달시스템으로, 현재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은 물론 4개 공군부대를 포함한 13개 군부대가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공군의 플랫폼 사용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비정기적으로 진행되던 사용자 교육을 연 4회로 정례화해, 급식 담당자의 식재료 조달시스템의 활용역량을 체계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이번 교육에서는 부대의 영양관리와 계약 담당자들이 플랫폼의 각종 기능을 활용해 장병 선호도를 반영한 식단편성, 인원수에 따른 식재료 소요량 계산, 조리법의 등록·활용 방법, 급식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입찰, 검수, 결산 등 전자조달 전 과정에 필요한 사용 방법을 배우게 된다. 

 

기운도 유통이사는 “고품질의 안전한 공공급식 제공은 장병들의 일상을 지탱하는 원동력인 동시에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출발점”이라며, “정기적인 교육뿐 아니라 긴밀한 협업을 지속해 공군의 공공급식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T, Air Force Unit ‘Public Food Integrated Platform User Training’

Meal composition reflecting soldier preferences using platform functions, calculating ingredient requirements according to number of personnel, etc.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The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 announced that on the 25th, it conducted ‘Public Food Integrated Platform User Training’ for Air Force unit nutrition management and contract managers who plan to use the public food integrated platform at the LW Convention Center in Seoul.

 

According to aT, the public food supply integrated platform is a specialized food supply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that was expanded and opened in September 2022 to ensure that food supply ingredients are supplied fairly and efficiently. Currently, 13 military units, including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s well as 4 air force units, are utilizing the platform.

 

In particular, as the Air Force's use of the platform gradually expands, the irregularly conducted user training will be regularized to 4 times a year to systematically increase the food supply staff's ability to utilize the food supply system.

 

In this training, the unit's nutrition management and contract staff will learn how to utilize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platform to compose a menu that reflects soldiers' preferences, calculate the amount of food requi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register and utilize recipes, and learn how to use the entire electronic procurement process from the meal supply plan establishment stage to bidding, inspection, and settlement.

 

Ki-un Do, the distribution director, said, “Providing high-quality, safe public meals is the driving force that supports soldiers’ daily lives, as well as the starting point for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and added, “We will actively support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Air Force’s public meal system through not only regular training but also close collaboration.”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