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인천시, 도시숲 피톤치드 실태조사.., 열섬해소 큰 도움
도시 열환경 개선책으로 도시공원과 숲의 효과 시민에게 제공
기사입력: 2018/08/02 [12:59]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폭염 등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으로 인천시 도시숲의 피톤치드 실태조사를 실시해, 잘 가꾼 도시숲이 시민 생활에 비타민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음을 과학적인 자료로 밝혔다.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숲에서 15분간 숲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농도는 15.8% 낮아지며 혈압도 2.1% 낮아지는 힐링 효과가 있고, 도심의 플라타너스 한 그루는 15평형 에어컨 10대를 7시간 가동하는 냉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실태조사는 작년에 이은 2차 조사이며, 인천지역 도시숲 (원적산, 문학산, 늘솔길공원) 3개소를 대상으로 생리활성물질(피톤치드류, 음이온)과 기상인자(온도, 습도, 일사량)를 측정하고, 24시간 피톤치드 일변화량 조사와 시민들이 숲과 공원에서 머무르는 평균시간(40분) 동안 산책로를 이동측정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했다.

 

이는, 예측을 벗어나는 폭염·열섬현상 등의 도시 열환경 개선책으로 도시공원과 숲의 효과를 과학적이고 쓸모 있는 정보로 시민에게 제공하고자 함이다.

 

원적산등 3개 도시숲 피톤치드류 농도는 최고 1475 pptv, 평균 437 pptv로, 작년 조사대상(계양산등) 평균농도 372 pptv (17 ~ 1461)와 유사했고, 이는 서울·경기등 수도권 지역에서 조사된 농도범위 (226 ~ 1846) pptv 수준으로 인천의 도시숲이 도시녹지로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평가 할 수 있었다.
 
또한,  5월에서 7월까지  3개 도시숲의 평균 온도는 한낮의 도심 보다  2.3 ℃ 낮고, 습도는 평균 10.7 % 높았다.
  
나뭇잎은 숲지붕으로 그늘을 만들어 체감온도를 낮추고 잎의 증산작용을 통해 주변의 온·습도를 조절 한다.

 

이것이 우리가 숲에 들어서면 느끼는 쾌적함의 주원인이며, 나아가 도시의 열환경 개선에 숲이 있어야 하는 이유이다.

 

아울러, 남동구 늘솔길 공원에 위치한 편백숲 데크길을 대상으로 실시한 피톤치드류 일변화량 조사 결과, 일몰직후인 저녁 8시 ~ 12시와 이른 아침인 4시 ~ 7시에 방출농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낮 동안 방출된 피톤치드류가 광화학반응 소모량이 줄고 대기의 안정도는 강해지는 시간대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2017년 조사결과, 피톤치드류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종이 식재된 지역이  비교적 높았으나 일반적인 도시숲은 혼효림으로 조성되어 있어 시민이 즐겨 찾는 도시공원 산책로(혼효림)를 일정시간 산책하며 조사 했다.

 

산책활동 시 측정된 평균 농도는 369 pptv로 적절한 시간의 근처 공원의 가벼운 산책으로도 잘 갖추어진 숲에서의 산림욕 못지않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혔다. 

 

이성모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도시의 나무와 숲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에 도심 재생 시 핵심 인프라로서 구축이 필요하고  도시공원이나 가로수가 도시계획의 부속물이 아닌 폭염이나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도시의 허파와 같은 기반시설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며,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는 올 여름에는 오후 5시 이후에 가까운 숲 그늘을 찾아‘40분의 산책으로는 산림욕효과’를 ‘15분의 휴식으로 체온을 낮추는’것이 열대야를 이기며 건강한 여름을 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인천시,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도시 열환경 개선책, 도시공원,도시숲,피톤치드,폭염,열섬현상,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