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강기윤 의원, 2019년에 2명이던 촉법소년 마약범죄 올해 7월까지 17명 검거...사전 예방 교육 절실
기사입력: 2023/09/25 [11:44]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강기윤 국회의원(경남 창원시 성산구,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국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경남 창원시 성산구,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이 25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범죄 촉법소년 검거현황’ 자료에 따르면 연간 한 두명에 불과했던 마약범죄 촉법소년이 2022년에는 15명, 2023년 7월까지 17명이 검거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강기윤 의원에 따르면,  촉법소년은 경찰에서 검거된 이후, 바로 법원으로 송치됨에 따라 마약범죄 촉법소년 현황의 정확성을 위해 대법원 법원행정처를 통해 확인한 ‘촉법소년 사건 중, 마약류관리법 위반 사건 처리 현황’을 확인한 결과 2019년 1명, 2020년 2명이었던 마약류관리법 위반 촉법소년 사건이 2022년에는 21건, 2023년 6월까지는 8건으로 대폭 상승했다.

 

다만, 대법원의 경우에는 검찰에서 송치되는 경우도 있어 경찰의 검거 현황보다 수치가 많거나 현재 재판 진행 중으로 판결이 나지 않아 집계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촉법소년 마약범죄가 다른 연령대의 마약범죄에 비해 더 위험한 것은 마약에 중독된 청소년의 경우 수요자이자 공급자(판매상)이 될 수 있다는 점으로 실제로 판매책으로 검거된 청소년 중, 일부는 수요자에서 공급자로 변모한 사례도 있다.

 

현재 청소년을 대상으로하는 마약 예방 교육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음주·흡연과 함께 교육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7월 국민 3,6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마약예방교육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91.4%(3,359명)가 별도의 마약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에 강기윤 의원은 “촉법소년 같은 어린 청소년 마약사범이 현상태로 성인이 된다면 잠재적 마약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재활과 치료도 중요하지만 사전 예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검찰청이 매년 발표하는 ‘2022 마약류 범죄백서’에 따르면 19세 미만 마약사범은 마약·향정·대마 등 마약류범죄 중에서 향정사범이 가장 많았으며 이 역시 증가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향정은 최근 의료현장에서 처방이 급격하게 늘어난 펜타닐,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벤조디아제핀, 메틸페니데이트 등 의료용 마약의 원료인 메트암페타민과 MDMA, YABA, LSD, JWH-018 및 그 유사체 등이다.

 

강 의원은 “향정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적발되는 마약류이자, 19세 미만의 향정마약사범이 늘어나는 만큼 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며 “그나마 감독이 가능한 의료용 마약은 처방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이력 조회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with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making efforts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resentative Kang Ki-yoon, 17 people arrested for drug crimes by July of this year, up from 2 in 2019... Advance prevention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Break News Incheon Reporter Park Sang-do

 

According to the data on ‘Arrest Status of Juveniles for Drug Crimes’ submitted by National Assembly People Power Party Rep. Kang Ki-yoon (Secretary of the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Seongsan-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on the 25th, only one or two people commit drug crimes each year. It was confirmed that 15 juveniles were arrested in 2022 and 17 by July 2023.

 

According to Rep. Kang Ki-yoon, after being arrested by the police, juveniles were immediately sent to the court, so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status of juveniles on drug offenses, the 'Status of processing of cases violating the Narcotic Drugs Control Act among juvenile juvenile cases' was confirmed through the Court Administration of the Supreme Court. As a result, the number of juvenile cases violating the Narcotics Control Act, which was 1 in 2019 and 2 in 2020, increased significantly to 21 in 2022 and 8 by June 2023.

 

However,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there are cases where the number is higher than the police arrest status because the cases are transferred from the prosecution, or there are cases where the number is not counted because the trial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no ruling has been made.

 

What makes juvenile drug crimes more dangerous than drug crimes of other age groups is that youth addicted to drugs can become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sellers). Among the youth arrested for selling drugs, some actually transformed from consumers to suppliers. There is also one case.

 

Currently, dru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th is provid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ong with drinking and smoking.

 

In relation to this, as a result of a youth drug prevention educ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last July on 3,674 citizens, 91.4% (3,359 people) of all respondents responded that separate drug prevention education was necessary.

 

Accordingly, Representative Kang Ki-yoon emphasized that “young juvenile drug offenders, such as juvenile drug offenders, could become potential drug criminals if they become adults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at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are important, but preventive manage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2022 Drug Crime White Paper’ published every year by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the largest number of drug offenders under the age of 19 were psychopathy offenders among drug crimes such as narcotics, psychotropic drugs, and marijuana, and this was also confirmed to be on the rise.

 

Psychotropic drugs include methamphetamine, which is the raw material for medical drugs such as fentanyl, phentermine, phendimetrazine, benzodiazepine, and methylphenidate, and MDMA, YABA, LSD, JWH-018, and their analogues, which have recently seen a rapid increase in prescriptions in medical settings.

 

Representative Kang said, “Psychotropic drugs are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narcotics in the country, and as the number of psychotropic drug offenders under the age of 19 is increasing, thorough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the authorities is necessary.” He added, “For medical drugs that can be supervised, an integrated narcotic management system must be used when prescribing.” He suggested an alternative, saying, “It should be mandatory to check the patient’s history through medical treatment.”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국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촉법소년 마약범죄, 마약범죄 촉법소년 검거현황,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