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자기 만들기 재능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정경미 도예가’ ©박상도 기자
|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강화도에서 작은 공방을 운영하며 장애를 가진 분들과 치매 노인들에게 도자기 만들기 재능기부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진행하고 있는 정경미 작가는 자연친화적인 흙이라는 소재를 이용한 작업이 뭉치고 쌓아올리는 과정을 통하여 긴장감을 이완시키고 집중력이 길러지며 마음의 안정과 치유 표현에 대한 자신감과 자발적인 표현 감성을 이끌어 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흙을 빚는 과정 하나하나가 자연 자극이 되어 작품을 만들며 아이들이 변화되는 것을 보면서 작가로서의 깊은 사명감을 가지게 되었고 가르치며 돌보게 된 아이들에 대한 책임감이 훨씬 더 커졌다고 한다.
장애를 넘어서 열심히 만든 작품으로 공모전에도 나가고 좋은 경험을 하며 몸은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마음은 누구보다 용기 있고 멋진 삶을 잘 살아내길 간절한 마음으로 응원한다.
그렇게 빚어낸 작품이 언젠가는 수상의 기쁨을 만날 날이 올 것을 기다리며 소중하게 흙 빚짐을 가르치고 있다.
또, 치매의 시간에 있는 어른들은 하루하루가 첫 수업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기억을 인지하는 기능이 늘 오늘이라는 시간에 멈추어 있기에 모든 시간이 오로지 오늘을 산다는 것이다.
치매라는 매우 어려운 대상들과 수업을 진행하는 것아 수월 하지만은 않지만 행복하게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신의 미약한 힘이 어르신들에게는 매우 커다란 기쁨이 되는 것을 보며 함께 흙 빚는 시간이 치매를 넘어 인생에서 느꼈던 좋은 기억을 만날 수 있기를 바라며 함께하는 시간이 행복하다고 말한다.
도자기는 긴 시간을 담을 수 있는 작업이다.
자신이 직접 생활 도자기로 사용하면서 쨍하고 화려한 빛깔의 그릇이 아닌 우리조상의 얼과 오랜 전통에서 남겨져 있는 순수하고 맑은 빛을 가진 전통 기법을 표현하고 싶다.
이미 장수국가로 들어선 지금 많은 사람이 백세시대를 살아야 하는 가운데 사람의 건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이나 우리 삶의 중요한 명제라는 것을 거듭 강조했다.
자연의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이 돋보이는 ....
그릇 또한 도자기의 숨 쉬 는 기능으로 음식이 순해지고 쉽게 서서히 식고 은근히 따뜻함을 지속하는 기능이 있는 도자기 그릇을 사용하여야 함은 자신이 만든 좋은 그릇 안에서 오래 숨을 쉴 수 있고 사람에게 위로를 줄 수 있는 자신만의 그릇을 만들고 싶다.
또, 도예는 작품에 집중하다 보면 일상적인 스트레스도 줄게 되고 삶의 만족감이 극대화되는 것을 느낄수있다는 것.
도예란 큰 의미의 해석하기보다는 삶을 싫증 없이 잘 채워갈 수 있는 시간의 선물 같다. 이제는 작품에 범위를 넘어 사회에 재능을 나눌 수 있는 것이 기쁨으로 커졌다고 한다.
정경미 작가는 주로 쌓아올리는 기법으로 오로지 손을 사용하는 작업을 한다.
쌓아올리기 가래성형기법이란 물레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점토를 둥글고 길게 말아서 포개고 합쳐서 창작하는 과정이며 다른 표현으로 하면 코올링기법이다.
흙을 길게 띠를 만들어 밑면에서부터 한층 한층 쌓아올려 붙이고 매끄럽게 다듬어 형태를 완성해나간다 가래성형 만으로도 풍부한 작품을 만들 수 있고 누구나 할수 있는 기본적인 기법이며 손이라는 도구를 여러 가지 쓰임으로 사용하여 집중력이 배가 된다.
그는 작품의 실패는 늘 있어서 실패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비록 움직이지 않는 그릇이지만 흙으로부터 시작된 인연을 특별하게 생각한다.
작품의 소재는 일상이 주는 사소함에서 찾아내는데 우리의 전통물건인 맷돌이나 아기 신발 또는 고무신 등 우리의 조상들의 삶을 모티브로 하는 작업이 많다며 작품의 소재는 삶에서 묻어나는 해학을 자기 작품에 담고 싶다,
오래 전 지인의 인연이 된 김미광 작가의 도자기로 인물과 사물을 표현하는 토우 만들기를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작품의 세계에 도전하고 싶은 버킷을 가지고 있다며 꿈이라는 거창한 표현보다는 흙이 가지고 있는 감성적 따뜻함을 담아 자신만의 차별화된 스타일과 친환경 기법으로 만들어 나가고싶다.고 바람을 말했다.
정경미 도예가는 충남 당진에서 태어나 서울디지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인천지역에서 공방을 운영하는 작가들과 다년간 전시회 및 판매전을 하며 계양서화미술대전입선.대한민국향토문화미술대전동상을 수상한 경력을 갖고 있다.
강화도에서 도자기랑정듬‘ 작은 도예공방을 운영하며 재능을 봉사와 사랑으로 빚고 있는 사람에 대한 사랑을 빚는 정경미 도예가의 이웃사랑실천이 지속되길 기원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with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making efforts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eramic artist Kyeong-mi Jeong’ teaches pottery to disabled people and seniors with dementia.
-Break News Incheon Reporter Park Sang-do
Artist Jeong Gyeong-mi, who runs a small workshop in Ganghwa Island and has been conducting a pottery-making talent don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ementia seniors for a long time, is a process of combining and building up works using the eco-friendly material called clay. It is said that through this, tension can be relaxed, concentration can be developed, peace of mind, healing, confidence in expression, and spontaneous expression can be brought out.
It is said that each process of shaping her clay became a natural stimulus, and seeing children change as she created her work gave her a deep sense of mission as an artist, and a much greate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children she taught and cared for.
We earnestly support her to go beyond her disability and enter contests with the work she worked hard to create, have great experiences, and although she has a disability physically, her heart is more courageous than anyone else and she lives a wonderful life.
We are teaching her how to cherish clay, waiting for the day when her work will one day receive the joy of receiving an award.
Also, adults suffering from dementia can say that each day is their first lesson. Since the function of recognizing memories is always stopped at the time called today, all time is lived only for today.
It is not easy to teach classes with very difficult subjects called dementia, but I am conducting the classes happily.
She says that she is happy to spend time together, seeing that her meager strength brings great joy to the elderly, and hopes that the time they spend together shaping clay will help them overcome dementia and encounter good memories of life.
Pottery is a work that can take a long time.
She wants to use traditional ceramics as her everyday ceramics, not with bright, flashy colors, but with traditional techniques that have pure, clear light left over from our ancestors' spirit and long-standing traditions.
As we have already become a country with long lives and many people have to live to the age of 100, he repeatedly emphasized that human health is an important proposition in our lives that cannot be overemphasized.
Food made from natural ingredients stands out....
You should also use pottery bowls, which have the ability to breathe for a long time in a good bowl that you have made, allowing the food to become mild, cool down easily, and maintain warmth subtly. I want to make my own bowl.
Also, if you focus on pottery, you can feel that everyday stress is reduced and your satisfaction with life is maximized.
Rather than interpreting it in a grand sense, pottery is more like a gift of time that can fill your life without getting tired. Now, it is said that the joy of being able to share one's talents with society beyond the scope of one's work has grown.
Artist Kyeong-mi Jeong mainly works using only her hands using a stacking technique.
The pile-up molding technique is a process of creating by rolling clay into a round shape by hand without using a potter's wheel, stacking it, and combining it. In other words, it is a colling technique.
Make long strips of clay, pile them up from the bottom, attach them, and smooth them out to complete the shape. You can create rich works of art just by squaring. It is a basic technique that anyone can do, and concentration is doubled by using the hand tool for various purposes.
He does not use the expression 'failure' because his works always fail, and he thinks particularly of the relationship that started from the soil, even though it is an immovable vessel.
The subject matter of his work is found in the trivial things of everyday life, and many of his works are based on motifs from the lives of our ancestors, such as millstones, baby shoes, or rubber shoes, which are traditional Korean items. ,
He said that he wanted to challenge himself into a new world of work by making clay pottery that expresses people and objects using the ceramics of Kim Mi-gwang, whom he became acquainted with a long time ago. “I want to create something with my own differentiated style and eco-friendly techniques,” he said.
Ceramist Gyeong-mi Jeong was born in Dangj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ainting at Seoul Digital University, and has participated in exhibitions and sales for many years with artists who run workshops in the Incheon area. She has won the Gyeyang Calligraphy and Painting Art Exhibition and the Bronze Award at the Korea Local Culture Art Exhibition.
She runs a small pottery workshop called ‘Pottery Rang Jeongdeum’ in Ganghwado Island, and I hope that the practice of loving one’s neighbors will continue as practiced by potter Gyeong-mi Jeong, who uses her talent through service and love for others.